부산 강소기업 63.9% "중견기업 도약 원하지만 혜택 축소는 부담"

부산 강소기업 63.9% "중견기업 도약 원하지만 혜택 축소는 부담"

조달시장 참여제한 및 규제 장벽 부담
"중견기업 진입 유도 위한 맞춤형 지원 필요"

기사승인 2025-08-05 13:30:50
부산상의 전경. 부산상의 제공.

경쟁력을 갖춘 강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을 추구하지만 중견기업 진입에 따른 정책지원 혜택 축소와 각종 규제 강화에 대해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중견기업 매출액 기준의 70% 이상을 달성한 지역 내 중견기업 후보기업 116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부산지역 강소기업의 중견기업 도약 인식 조사’결과를 5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중견기업 후보 전체의 63.9%가 중견기업 진입에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이는 정책지원의 사각지대로 향한다는 부정적 인식이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부산 강소기업의 중견기업 진입부담 요인. 부산상의 제공.

중견기업 진입 시 부담요인으로는 세제혜택 축소가 57.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중견기업 진입 시 고용․투자․연구개발 둥 관련된 세제 혜택이 축소되며 법인세 최저한세율 등 세제 기준에서도 중소기업보다 불리한 기준을 적용받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공공조달시장 참여 제한(15.1%), 노동․환경․안전 등 규제 부담 증가(12.8%), 정책금융 축소(8.1%), 판로확보 지원 축소(4.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 성장 지원에 필요한 정책 방안으로는 중견기업 세제 혜택 확대가 60.5%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중견기업 전용 정책자금 및 금융지원(31.4%), 규제 완화(5.8%) 등의 순이었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중견기업으로의 도약은 기업의 신뢰도와 이미지 제고, 자금 조달 및 투자 유치 등 이점도 있지만 기업들은 정책지원 혜택 축소 부담느낀다"고설명했다. 

이어 "중견기업 성장에 이르기까지 20년 이상 소요되는 만큼 장기적인 시각에서 후보기업들의 중견기업 진입을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손연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