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수 진작 등을 위해 전 국민에게 지급된 '민생 회복 소비쿠폰'으로 담배를 사들이는 등 특정 품목을 사재기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일각에선 구매 품목을 제한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언론 취재에 따르면 이번 주부터 소비쿠폰 지급이 본격화되면서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 편의점과 동네 마트에 담배 구입 문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마트를 운영하는 40대 A씨는 “소비쿠폰 지급 첫날부터 어르신들이 담배를 두세 보루씩 사 가곤 한다”고 말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SNS)에서는 '민생지원금 절망편'이라며 소비쿠폰으로 담배 15갑을 샀다는 인증 사진이 올라왔다. 일부 애연가들 사이에서는 '흡연지원금'이라는 농담도 나온다.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지급된 2020년 당시에도 담배 매출이 증가한 바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차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2020년 5∼8월 담배 판매량은 12억5000만갑으로 전년 같은 기간의 12억200만갑에 견줘 4.0%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담배는 저장과 보관이 간편해 차후 현금으로 바꾸는 '담배깡'도 가능하다는 게 지적한다. 이홍주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소비쿠폰은 소멸성 자산이기 때문에 장기 보관이 가능한 담배를 안정적 소비재로 인식하고 전환하려는 것"이라며 "담배 구입은 소비를 촉진할 실질적 경제 효과가 작기 때문에 구매 품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도 "술·담배 구입을 제한한 미국의 저소득층용 식량 쿠폰 사례를 참고해 더 늦기 전에 구매 품목을 제한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