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이앤씨 시공 현장에서 또다시 인명 사고가 발생하면서 안전관리 부실 논란이 재점화했다. 이번 사고는 전사적인 작업 중단 이후 안전하다는 판단 하에 작업을 재개한 첫날 발생한 것으로, 기업의 자정능력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대통령실은 5일 이재명 대통령이 휴가 복귀 이후 대응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용산 대통령실 현안 브리핑에서 “안타깝게도 인명 사고가 다시 발생했다”며 “동일 사업장에서 반복되는 사고에 대해 (대통령께서) 경고와 채찍을 보낸 바 있었기에, 휴가 이후 대응이 있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전날 오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광명~서울고속도로 연장 공사 현장에서 미얀마 국적의 30대 남성 근로자 A씨가 감전으로 추정되는 사고를 당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현재까지 의식불명인 상태다.
이번 사고는 포스코이앤씨 시공 현장에서 발생한 올해 다섯 번째 중대 재해다. 지난 1월 김해 아파트 신축현장에서 50대 하청 노동자가 추락해 숨졌고, 4월에는 광명 신안산선 지하터널 건설 현장에서 붕괴 사고로, 대구 주상복합 신축현장에서는 추락 사고로 각각 사망자가 발생했다. 7월 말엔 함양~울산 고속도로 의령 나들목 공사 중 60대 노동자가 천공기에 끼여 숨지는 사고도 있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앞선 사고에 대해 “똑같은 방식으로 사망 사고가 반복되는 건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며 강하게 질타한 바 있다. 이후 포스코그룹은 대국민 사과와 함께 전 현장 작업을 중단하고 ‘안전관리 혁신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번 사고로 이 같은 대책이 ‘전시성’에 불과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또다시 인명 사고가 발생한 것에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김장관은 “공사 중단 이후 작업 재개 과정에서 안전조치를 제대로 검증했는지를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전국 포스코이앤씨 건설 현장 62곳에 대한 불시 감독을 예고했으며,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에 대해서도 수사에 착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