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뉴스=김민석 기자] ‘땅콩 리턴(회항)’ 사건 당사자 박창진 대한항공 사무장이 업무 복귀 후 “18년을 근무하면서 이런 ‘지옥 스케줄’은 처음”이라며 인사보복 의혹을 제기했다.
경향신문은 3일 대한항공 박창진 사무장이 업무 복귀 이후 과중한 비행 스케줄 탓에 극심한 피로를 호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박 사무장은 지난해 12월 ‘땅콩 리턴’ 사건 이후 58일 만인 지난 1일 현업에 복귀했다. 박 사무장은 2일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열린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결심공판에서 “업무 복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회사 측 말이 거짓말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경향신문이 입수한 박 사무장의 비행 스케줄에 따르면 대부분 국내선이나 일본-중국-동남아 단거리 국제선으로 짜여 있다. 매달 3번 이상 편성되는 장거리 노선은 인천~이탈리아 로마 1회 뿐이다.
박 사무장은 4일 오전 7시부터 오후 12시45분까지 김포~여수를 4번 왕복하는 일정이 잡혀 있다. 5일에는 오전 10시 5분 출발하는 인천~중국 삿뽀로 비행이 예정돼 있다. 승무원들은 비행기 출발이 오전 7시인 경우 오전 4시30분 쯤 출근한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경향신문과에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노선은 대부분 현지에서 체류하지 않고 바로 승객을 받기 때문에 체력 소모가 상당하다. 승무원들은 비행 수당도 많고 체류비도 나오는 장거리 노선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또한 한 전직 승무원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힘든 노선으로 시간표가 편성된 것”이라며 “노조 활동을 열심히 했던 직원들의 징계 수순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대한항공 측은 “승무원 14명을 이끄는 팀장에 걸맞게 다른 팀장들과 비슷한 수준의 월 72시간 비행 업무”라며 “승무원 스케줄은 컴퓨터에 의해 자동편성되며, 인위적으로 가혹한 스케줄 편성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조현아 부사장은 2일 서울서부지법 제12형사부(부장판사 오성우) 심리로 진행된 결심공판에서 “사건의 발단은 승무원의 서비스가 매뉴얼과 다른 부분이 있어 확인하기 위해 매뉴얼을 가져오라고 했는데 찾지 못한 데 있다”며 “이후에 있었던 내 행동은 내 잘못이지만 승무원도 매뉴얼대로 서비스를 안 한 건 확실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항로 변경 혐의에 대해서는 “비행기를 세우라는 취지로 말한 것은 맞지만 움직이는 비행기를 세우라는 것이 아니라 비행을 시작하기 위한 절차를 중지하라, 출발시키지 않겠다는 의미였다”고 말했다.
검찰은 “피고인에게 반성과 죄의식이 희박하다”며 징역 3년을 구형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