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정치] 새누리당은 6·4지방선거를 앞두고 점증하는 정부책임론 때문에 곤혹스런 분위기다. 특히 지방선거 승패의 분수령인 수도권의 민심이 크게 흔들리면서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전패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수도권에 지역구를 둔 한 의원은 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여권의 지지율이 정말 많이 빠졌다”며 “여론조사 수치뿐만 아니라 피부로 와 닿는 지역 주민들의 반응 자체가 싸늘하다”고 위기감을 피력했다. 일단 광역단체장 후보들의 당선이 힘들어진 상황이고, 그렇다 보니 이들을 뒷받침하고 있는 구청장·시장 등 기초단체장 후보들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새누리당이 전전긍긍하는 이유는 세월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불거진 정부책임론이 박근혜정부를 특정한 정권심판론 쪽으로 방향을 틀 기미가 보이면서다. 정권심판론이 제기되면 집권세력의 한 축인 여당도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에 대한 지지도가 동반 하락하고 있는 현상이 ‘정부·여당 공동책임론’을 뒷받침한다.
수도권에서 느껴지는 위기감은 당초 야권에 우세를 점하고 있던 경기도지사 선거마저도 힘들어 질 수 있다는 판단이 나오면서 증폭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자체적으로 수도권 판세가 경기도의 경우 ‘우세’에서 ‘박빙 우세’로, 서울의 경우 ‘박빙 우세’에서 ‘박빙’으로, 인천의 경우 ‘박빙’에서 ‘박빙 열세’로 한 단계씩으로 내려갔다고 보고 있다.
경기도지사 경선을 준비하고 있는 한 캠프의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수도권에는 무당파가 많아 ‘바람’이 불면 쉽게 흔들린다”라며 “세월호 참사 피해 당사자인 단원고가 경기도 안산에 있는 만큼 경기도에는 큰 악재가 터졌다”고 말했다. 수도권 선거를 준비 중인 한 후보는 “안산의 경우 원자폭탄이 떨어졌던 히로시마와 같은 아노미 상태”라고 빗대기도 했다.
하지만 위기상황이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한 당직자는 “정부에 대한 책임과 정권에 대한 심판은 다른 문제”라며 “수십년 동안 누적돼 온 위기관리 시스템의 오작동이 박근혜정부의 무능 때문만은 아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사태 수습에 진정성을 보이면 위기감을 인식한 보수층이 결집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수도권 전멸’ 시나리오가 적중할 경우 여권 내부에서는 책임론을 둘러싸고 만만치 않은 후폭풍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유동근 기자 [email protected]
수도권에 지역구를 둔 한 의원은 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여권의 지지율이 정말 많이 빠졌다”며 “여론조사 수치뿐만 아니라 피부로 와 닿는 지역 주민들의 반응 자체가 싸늘하다”고 위기감을 피력했다. 일단 광역단체장 후보들의 당선이 힘들어진 상황이고, 그렇다 보니 이들을 뒷받침하고 있는 구청장·시장 등 기초단체장 후보들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새누리당이 전전긍긍하는 이유는 세월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불거진 정부책임론이 박근혜정부를 특정한 정권심판론 쪽으로 방향을 틀 기미가 보이면서다. 정권심판론이 제기되면 집권세력의 한 축인 여당도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에 대한 지지도가 동반 하락하고 있는 현상이 ‘정부·여당 공동책임론’을 뒷받침한다.
수도권에서 느껴지는 위기감은 당초 야권에 우세를 점하고 있던 경기도지사 선거마저도 힘들어 질 수 있다는 판단이 나오면서 증폭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자체적으로 수도권 판세가 경기도의 경우 ‘우세’에서 ‘박빙 우세’로, 서울의 경우 ‘박빙 우세’에서 ‘박빙’으로, 인천의 경우 ‘박빙’에서 ‘박빙 열세’로 한 단계씩으로 내려갔다고 보고 있다.
경기도지사 경선을 준비하고 있는 한 캠프의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수도권에는 무당파가 많아 ‘바람’이 불면 쉽게 흔들린다”라며 “세월호 참사 피해 당사자인 단원고가 경기도 안산에 있는 만큼 경기도에는 큰 악재가 터졌다”고 말했다. 수도권 선거를 준비 중인 한 후보는 “안산의 경우 원자폭탄이 떨어졌던 히로시마와 같은 아노미 상태”라고 빗대기도 했다.
하지만 위기상황이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한 당직자는 “정부에 대한 책임과 정권에 대한 심판은 다른 문제”라며 “수십년 동안 누적돼 온 위기관리 시스템의 오작동이 박근혜정부의 무능 때문만은 아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사태 수습에 진정성을 보이면 위기감을 인식한 보수층이 결집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수도권 전멸’ 시나리오가 적중할 경우 여권 내부에서는 책임론을 둘러싸고 만만치 않은 후폭풍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유동근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