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정치] 새누리당의 6·4지방선거 서울시장 예비후보인 김황식 전 국무총리가 정몽준 의원과의 양자대결이 무산된 뒤 연락을 끊고 칩거에 들어갔다.
김 전 총리는 28일 예정됐던 서울 지역 당원협의회 4곳 방문, 방송 인터뷰 2건 등의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휴대전화까지 꺼놓은 채 침묵시위에 들어갔다. 전날까지 양자대결을 촉구하다가 결국 이혜훈 최고위원까지 포함한 3배수로 경선이 압축되자 항의표시가 담긴 배수진을 친 셈이다. 캠프 관계자들은 전날에 이어 경선 불참 가능성을 다시 한 번 거론했다.
하지만 김 전 총리 측근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3배수로 컷오프가 결정된 것이 문제의 핵심이 아니다”라며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의 ‘무능함·오락가락·무책임’ 등을 주요 불만사안으로 꼽았다. 공천위가 완전히 결정되지 않은 ‘2배수 컷오프’ 가능성을 미리 언론에 흘려 마치 김 전 총리가 자신에게 유리한 룰을 당에게 요구하고 있는 인사로 비치게끔 연출했다는 주장이다.
김 전 총리 경선캠프 유성식 대변인도 “일련의 사태에 대한 정확한 해명과 사과, 책임자 문책 등에 대해 당의 가시적인 조치를 요구한다. 이제 공은 당으로 넘어간 상태”라며 “만약 시정되지 않으면 엄중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련의 사태’란 2~3배수 등 컷오프 범위를 둘러싼 논란을 비롯해 공천신청 시한을 연장한 것부터 순회경선 방식 결정까지 당 지도부의 미숙한 경선 관리가 김 전 총리 측에 화가 됐다는 주장이다. 김 전 총리는 일련의 과정에서 친박근혜계 주류가 자신을 돕는다는 소문이 당내에 돌았고, 그 결과 오히려 불리한 상황이 반복된 데 모욕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성헌·윤원중 전 의원 등 캠프 핵심인사들이 당사를 방문해 황우여 대표에게 공정한 경선관리를 촉구하는 항의서한을 전달하기도 했다.
김 전 총리의 향후 행보에 대해서는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핵심 당직자는 “김 전 총리가 경선에서 이탈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지만, 당내에서는 김 전 총리가 장고(長考)에 들어간 것을 놓고 ‘경선 불참’까지 포함한 초강수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유동근 기자 [email protected]
김 전 총리는 28일 예정됐던 서울 지역 당원협의회 4곳 방문, 방송 인터뷰 2건 등의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휴대전화까지 꺼놓은 채 침묵시위에 들어갔다. 전날까지 양자대결을 촉구하다가 결국 이혜훈 최고위원까지 포함한 3배수로 경선이 압축되자 항의표시가 담긴 배수진을 친 셈이다. 캠프 관계자들은 전날에 이어 경선 불참 가능성을 다시 한 번 거론했다.
하지만 김 전 총리 측근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3배수로 컷오프가 결정된 것이 문제의 핵심이 아니다”라며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의 ‘무능함·오락가락·무책임’ 등을 주요 불만사안으로 꼽았다. 공천위가 완전히 결정되지 않은 ‘2배수 컷오프’ 가능성을 미리 언론에 흘려 마치 김 전 총리가 자신에게 유리한 룰을 당에게 요구하고 있는 인사로 비치게끔 연출했다는 주장이다.
김 전 총리 경선캠프 유성식 대변인도 “일련의 사태에 대한 정확한 해명과 사과, 책임자 문책 등에 대해 당의 가시적인 조치를 요구한다. 이제 공은 당으로 넘어간 상태”라며 “만약 시정되지 않으면 엄중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련의 사태’란 2~3배수 등 컷오프 범위를 둘러싼 논란을 비롯해 공천신청 시한을 연장한 것부터 순회경선 방식 결정까지 당 지도부의 미숙한 경선 관리가 김 전 총리 측에 화가 됐다는 주장이다. 김 전 총리는 일련의 과정에서 친박근혜계 주류가 자신을 돕는다는 소문이 당내에 돌았고, 그 결과 오히려 불리한 상황이 반복된 데 모욕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성헌·윤원중 전 의원 등 캠프 핵심인사들이 당사를 방문해 황우여 대표에게 공정한 경선관리를 촉구하는 항의서한을 전달하기도 했다.
김 전 총리의 향후 행보에 대해서는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핵심 당직자는 “김 전 총리가 경선에서 이탈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지만, 당내에서는 김 전 총리가 장고(長考)에 들어간 것을 놓고 ‘경선 불참’까지 포함한 초강수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유동근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