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자가 대한민국 경제 수장이라니” 민심이 부글부글… 현오석 경제부총리 망언 파문 확산

“이런 자가 대한민국 경제 수장이라니” 민심이 부글부글… 현오석 경제부총리 망언 파문 확산

기사승인 2014-01-23 19:54:00

[쿠키 경제] “이런 자가 대한민국 경제 수장이라니… 분노를 넘어 허탈함이 밀려온다.”

개인정보를 빼앗긴 온 국민을 “어리석다”고 칭한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한 국민 분노가 들끓고 있다. 현 부총리는 부랴부랴 망언을 사과했지만 인터넷에서는 현 부총리에 대한 비난이 쇄도했다.

23일 인터넷에서는 하루종일 현 부총리를 성토하는 글이 이어졌다.

네티즌들은 국민들에게도 정보 유출의 책임이 있다고 호도한 현 부총리의 상황 인식을 개탄했다. 인터넷에서는 “개인정보 사용 허락을 하지 않으면 가입도 못하게 하는 절차를 정부가 승인해준 것 아닌가. 그래놓고 이제와서 국민탓을 하다니”라는 글이 빗발쳤다.

현 부총리는 지난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 관계 장관회의를 마친 뒤 신제윤 금융위원장, 최수현 금융감독원장 등의 사퇴를 고려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어리석은 사람은 무슨 일이 터지면 책임을 따지고 걱정만 하는데, 현명한 사람은 이를 계기로 이런 일이 이어지지 않도록 한다”면서 “금융 소비자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부터 신중해야 한다. 우리가 다 정보 제공에 동의해 줬지 않느냐”고 말해 공분을 샀다.

논란이 이어지자 현 부총리는 23일 “정보 제공에 대해 말한 것은 책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면서 “불안과 불편을 겪고 계시는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려 무척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하지만 네티즌의 분노는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네티즌들은 “백보 양보해서 내가 카드발급에 필요한 정보 제공에 동의했지, 정보 유출하라고 동의했나?”거나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했으니 유출되는 것도 감수하라는 말인데. 경제 수장이라는 자가 범죄자를 옹호하고 있다”, “저렇게 변명하는 걸 보니 진심으로 사과할 마음은 없는 것 같다”고 비난을 퍼부었다.

일부에서는 현 부총리가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시절 공무원 클린카드(법인카드)로 유흥업소를 출입했다는 의혹을 다시 거론하기도 했다. 법인카드만 썼으니 개인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를 느긋하게 생각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여야 정치권도 한목소리로 현 부총리를 성토했다.

국회에서 23일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이혜훈 최고위원은 “듣는 사람의 귀를 의심하게 하는 발언”이라며 “금융 당국의 책임을 규명하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피해를 입고 불안에 떠는 국민들이 금융 당국의 책임을 따지는 것에 대해 ‘어리석은 사람’이라고 말하다니 국민을 무시하고, 국민 위에 군림하는 오만한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핵심 당직자와 일반 의원들도 강도 높게 비판에 가담했다. 심재철 최고위원은 “국민의 염장을 지르고 성난 민심에 불을 지르는 발언”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은 ‘엄중 문책’을 지시했는데도 현 부총리는 국민들에게 책임이 있다는 식으로 말하고 있으니 과연 부총리가 맞느냐”고 따졌다. 새누리당 김상민 의원은 기자회견을 자청해 “정부는 기업에 대한 책임을 강하게 묻겠다고 하면서도 정작 정부의 책임론이 부각되니 자기사람 감싸기에 열중하고 있다”며 “적반하장도 유분수”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아예 “사태 수습을 하는 것도 추후 사퇴하는 식으로 총체적 책임을 지겠다는 약속 하에 해야 한다”면서 현 부총리를 비롯한 경제라인의 ‘줄사퇴’를 공식 요구했다.

민주당도 “적반하장”이라며 강력 성토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고위정책회의에서 “외눈박이 눈에는 두 눈 가진 사람이 비정상으로 보인다더니 책임을 모면하기 위한 인식”이라며 “정부가 책임을 묻는 국민의 분노를 어리석다고 치부하는 오만과 무책임까지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정애 대변인은 “정보 제공에 동의한 것이지, 정보 유출에 동의한 게 아니다”며 “정부는 국민을 탓하기에 앞서 개인정보 관리·감독을 소홀히 한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최수현 금감원장을 경질하고, 해당 금융사를 강도 높게 조사하라”고 촉구했다.

이런 정치권의 분위기를 감안할 때 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매듭을 짓고 넘어가야 하는 상황에 몰린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이 공석 상태인 청와대 대변인 인선 작업과 맞물려 개각 문제를 들여다보게 될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그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개각론이 다시 급부상하는 형국이다. 특히 박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개각설을 일축하면서도 “개각 요인이 있으면 하겠다”고 했던 요인에 현 부총리 발언이 포함된다는 게 정치권의 분위기다. 친박 핵심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개각 가능성에 대해 “당장은 어렵지 않겠느냐”면서도 “현 부총리의 발언은 매우 이례적이라 상황이 어떻게 돌아갈지 장담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상기 유동근 기자 [email protected]
김상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