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정치]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금융사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의 책임 문제에 대해 “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았냐”며 금융소비자를 탓한 발언에 대해 여야 정치권이 맹비난을 퍼부었다. 야당은 물론 여당 내부에서 조차 현 부총리를 비롯한 경제라인 전면 개편을 포함한 개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국회에서 23일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는 현 부총리에 대한 성토의 장이 돼 버렸다. 이혜훈 최고위원이 “듣는 사람의 귀를 의심하게 하는 발언”이라며 포문을 열었다. 이 최고위원은 “금융당국의 책임을 규명하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피해를 입고 불안에 떠는 국민들이 금융당국의 책임을 따지는 것에 대해 ‘어리석은 사람’이라고 말을 하다니 국민을 무시하고, 국민 위에 군림하는 오만한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핵심 당직자와 일반 의원들도 강도 높게 비판에 가담했다. 심재철 최고위원은 “국민의 염장을 지르고 성난 민심에 불을 지르는 발언”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은 ‘엄중 문책’을 지시했는데도 현 부총리는 국민들에 책임이 있다는 식으로 말하고 있으니 과연 부총리가 맞느냐”고 따졌다. 새누리당 김상민 의원은 기자회견을 자청해 “정부는 기업에 대한 책임을 강하게 묻겠다고 하면서도 정작 정부의 책임론이 부각되니 자기사람 감싸기에 열중하고 있다”며 “적반하장도 유분수”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아예 “사태수습을 하는 것도 추후 사퇴하는 식으로 총체적 책임을 지겠다는 약속 하에 해야 한다”면서 현 부총리를 비롯한 경제라인의 ‘줄사퇴’를 공식 요구했다.
민주당도 “적반하장”이라며 강력 성토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고위정책회의에서 “외눈박이 눈에는 두 눈 가진 사람이 비정상으로 보인다더니 책임을 모면하기 위한 인식”이라며 “정부가 책임을 묻는 국민의 분노를 어리석다고 치부하는 오만과 무책임까지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정애 대변인은 “정보제공에 동의한 것이지, 정보유출에 동의한 게 아니다”라며 “정부는 국민을 탓하기에 앞서 개인정보 관리·감독을 소홀히 한 신 금융위원장과 최 금감원장을 경질하고, 해당 금융사를 강도 높게 조사하라”고 촉구했다.
이런 정치권의 분위기를 감안할 때 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매듭을 짓고 넘어가야 하는 상황에 몰린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이 공석상태인 청와대 대변인 인선작업과 맞물려 개각 문제를 들여다 보게 될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그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개각론이 다시 급부상하는 형국이다. 특히 박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개각설을 일축하면서도 “개각요인이 있으면 하겠다”고 했던 요인에 현 부총리의 발언이 포함된다는 게 정치권 분위기다. 친박 핵심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개각 가능성에 대해 “당장은 어렵지 않겠냐”면서도 “현 부총리의 발언은 매우 이례적이라 상황이 어떻게 돌아갈지 장담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유동근 기자 [email protected]
국회에서 23일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는 현 부총리에 대한 성토의 장이 돼 버렸다. 이혜훈 최고위원이 “듣는 사람의 귀를 의심하게 하는 발언”이라며 포문을 열었다. 이 최고위원은 “금융당국의 책임을 규명하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피해를 입고 불안에 떠는 국민들이 금융당국의 책임을 따지는 것에 대해 ‘어리석은 사람’이라고 말을 하다니 국민을 무시하고, 국민 위에 군림하는 오만한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핵심 당직자와 일반 의원들도 강도 높게 비판에 가담했다. 심재철 최고위원은 “국민의 염장을 지르고 성난 민심에 불을 지르는 발언”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은 ‘엄중 문책’을 지시했는데도 현 부총리는 국민들에 책임이 있다는 식으로 말하고 있으니 과연 부총리가 맞느냐”고 따졌다. 새누리당 김상민 의원은 기자회견을 자청해 “정부는 기업에 대한 책임을 강하게 묻겠다고 하면서도 정작 정부의 책임론이 부각되니 자기사람 감싸기에 열중하고 있다”며 “적반하장도 유분수”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아예 “사태수습을 하는 것도 추후 사퇴하는 식으로 총체적 책임을 지겠다는 약속 하에 해야 한다”면서 현 부총리를 비롯한 경제라인의 ‘줄사퇴’를 공식 요구했다.
민주당도 “적반하장”이라며 강력 성토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고위정책회의에서 “외눈박이 눈에는 두 눈 가진 사람이 비정상으로 보인다더니 책임을 모면하기 위한 인식”이라며 “정부가 책임을 묻는 국민의 분노를 어리석다고 치부하는 오만과 무책임까지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정애 대변인은 “정보제공에 동의한 것이지, 정보유출에 동의한 게 아니다”라며 “정부는 국민을 탓하기에 앞서 개인정보 관리·감독을 소홀히 한 신 금융위원장과 최 금감원장을 경질하고, 해당 금융사를 강도 높게 조사하라”고 촉구했다.
이런 정치권의 분위기를 감안할 때 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매듭을 짓고 넘어가야 하는 상황에 몰린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이 공석상태인 청와대 대변인 인선작업과 맞물려 개각 문제를 들여다 보게 될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그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개각론이 다시 급부상하는 형국이다. 특히 박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개각설을 일축하면서도 “개각요인이 있으면 하겠다”고 했던 요인에 현 부총리의 발언이 포함된다는 게 정치권 분위기다. 친박 핵심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개각 가능성에 대해 “당장은 어렵지 않겠냐”면서도 “현 부총리의 발언은 매우 이례적이라 상황이 어떻게 돌아갈지 장담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유동근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