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 정치] 새누리당은 전날 문재인 민주당 의원의 ‘정계은퇴’ 발언에 대해 ‘얄팍한 배수진’ ‘꼼수’ 등 원색적인 말을 써가며 야당을 공격했다. 하지만 여당 지도부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조사 결과들이 속속 발표되자 당혹해하며 출구전략을 고심하고 있다.
새누리당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1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이 확인될 경우 정계 은퇴하겠다고 한 문 의원 발언에 대해 “직접 ‘포기’라는 단어가 없었다고 해서 아마 얄팍한 배수진을 치는 발언을 한 것 같다”고 평가 절하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기록관에 보관된 대화록 원문 공개 요구에 대해서는 “(현행법 상 공개를 위해 국회의원) 3분의 2가 동의가 이루어질 수 있을지 모르겠다. 제가 볼 때는 정치적인 꼼수”라고 꼬집었다.
민주당은 문 의원 발언을 엄호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했다. 양승조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문 의원이 NLL 포기 발언이 사실이면 정계를 은퇴하겠다고 선언한 것은 소모적 정쟁을 중단하고 국론분열을 종결하자는 충정에서 나온 발언”이라며 “이제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답할 차례”라고 압박했다. 김한길 대표는 “지난 대선의 정당성과 박근혜정부의 정통성을 위해서라도 국정원과 새누리당이 대선 전후에 저지른 탈법적 공작적 행태의 전모를 숨김없이 밝혀야 한다”면서 “관련자들을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예외 없이 처벌하겠다는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를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가 발끈했다. 최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의 방중(訪中) 중에 민주당이 원외 집회를 열어서 국정원 댓글 의혹과 관련해 대통령의 사과 요구했는데, 이는 금도마저 저버린 행위”라며 “국정원 의혹과 관련해 이미 대통령이 ‘아무 관계도 없다’고 밝혔는데도 사과를 요구한 것은 어떻게든 (대통령을) 흔들어 보려는 본색을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여론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NLL 관련 공세를 자제하고 민생 현장을 방문하는 등 출구전략을 짤 때가 됐다는 말이 나온다. 한 의원은 “최근 몇몇 의원들이 사석에서 ‘당이 전문 공개를 추진한 것처럼 오해를 사고 있어 역풍을 맞고 있다. 퇴로를 찾을 때가 됐다’고 말하고 있다”며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유동근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