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이 11일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訪美) 수행 도중 중도 귀국한 이유에 대해 ‘이남기 홍보수석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수석은 윤 전 대변인의 ‘귀국 종용’ 주장에 대해 “기억이 없다”고 일축했다. ‘성추행 의혹 사건’은 윤 전 대변인과 청와대 간 ‘진실 공방’ 양상으로 확산되고 있다.
윤 전 대변인은 서울 종로의 한 음식점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자신에게 제기된 각종 의혹 전반을 부인하면서 자신이 이 수석으로부터 귀국을 종용받은 사실이 있었음을 조목조목 설명했다.
윤 전 대변인의 해명에 따르면 그와 이 수석은 ‘성추행 의혹 사건’이 있고 난 다음날인 지난 8일 오전 9시쯤 경제인 조찬 행사 직후 박 대통령의 숙소가 있는 영빈관에서 만났다. 이 자리에서 이 수석이 성추행 사건을 언급하며 “재수가 없게 됐다. 성희롱에 대해서는 변명을 해봐야 납득이 되지 않으니 빨리 워싱턴을 떠나서 한국으로 돌아가야 되겠다”고 했다는 것이 윤 전 대변인의 주장이다. 이에 윤 전 대변인이 “내가 잘못이 없는데 왜 일정을 중단하고 한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말이냐, 해명을 해도 이 자리에서 하겠다”고 귀국 거부 의사를 밝혔지만, 이 수석이 “한시 반 비행기를 예약해 놓았으니까 짐을 찾아서 떠나라”고 해 그길로 귀국 길에 올랐다는 것이다.
윤 전 대변인으로선 청와대 직제 상 직속상관인 이 수석의 지시를 거역할 수 없어서 억울하지만 귀국할 수밖에 없었다는 해명이다.
하지만 이런 해명은 전날 청와대 관계자가 설명한 귀국 배경과는 사실 관계에서 어긋나는 부분이 있다.
청와대는 윤 전 대변인의 조기 귀국은 철저히 ‘윤 전 대변인 본인의 결정’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수석은 이날 청와대에서 기자들과 만나 “8일 오전 9시 20~30분쯤 윤 전 대변인을 영빈관 앞 길거리에서 만나 성추행 사건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정도의 대화를 5분 정도 나눈 것으로 기억한다”며 “윤 전 대변인의 주장처럼 귀국을 종용했다거나 비행기 예약을 했다는 얘기는 한 기억이 없다”고 밝혔다. 윤 전 대변인이 해명 과정에서 거짓말을 했다는 말인 셈이다.
앞서 청와대 관계자는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 8일 상황에 대해 조찬 행사 직전 홍보비서실과 윤 전 대변인 간에 ‘1차 통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당시 통화에서 윤 전 대변인은 주미(駐美) 한국문화원에 성희롱을 당했다고 주장하는 여성이 와서 울고 있다고 말을 전해 듣고 “(한국으로) 돌아가겠다”고 먼저 귀국 의사를 밝혔다는 것이다.
또 행사 직후 이어진 ‘2차 통화’에서 윤 전 대변인이 홍보비서실로부터 미국 경찰의 수사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전해 받은 뒤 조기 귀국을 결정하고, 비행기표문의까지 해왔다는 것이 청와대 홍보비서실의 설명이다.
귀국 배경에 대해 윤 전 대변인과 청와대의 설명이 엇갈림에 따라 ‘진실 공방’ 등 후폭풍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윤 전 대변인의 해명이 사실이라면 사건을 조기에 진화하기 위해 청와대가 조직적인 거짓말을 한 셈이 된다. 이럴 경우 청와대가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더 큰 논란이 생길 수 있다.
한편 이 수석은 윤 전 대변인 외에 청와대 상부의 추가적인 책임이 있어야 한다는 ‘책임 공방’에 대해 일단 “책임을 질 상황이 있다면 나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유동근 기자 [email protected]
윤 전 대변인은 서울 종로의 한 음식점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자신에게 제기된 각종 의혹 전반을 부인하면서 자신이 이 수석으로부터 귀국을 종용받은 사실이 있었음을 조목조목 설명했다.
윤 전 대변인의 해명에 따르면 그와 이 수석은 ‘성추행 의혹 사건’이 있고 난 다음날인 지난 8일 오전 9시쯤 경제인 조찬 행사 직후 박 대통령의 숙소가 있는 영빈관에서 만났다. 이 자리에서 이 수석이 성추행 사건을 언급하며 “재수가 없게 됐다. 성희롱에 대해서는 변명을 해봐야 납득이 되지 않으니 빨리 워싱턴을 떠나서 한국으로 돌아가야 되겠다”고 했다는 것이 윤 전 대변인의 주장이다. 이에 윤 전 대변인이 “내가 잘못이 없는데 왜 일정을 중단하고 한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말이냐, 해명을 해도 이 자리에서 하겠다”고 귀국 거부 의사를 밝혔지만, 이 수석이 “한시 반 비행기를 예약해 놓았으니까 짐을 찾아서 떠나라”고 해 그길로 귀국 길에 올랐다는 것이다.
윤 전 대변인으로선 청와대 직제 상 직속상관인 이 수석의 지시를 거역할 수 없어서 억울하지만 귀국할 수밖에 없었다는 해명이다.
하지만 이런 해명은 전날 청와대 관계자가 설명한 귀국 배경과는 사실 관계에서 어긋나는 부분이 있다.
청와대는 윤 전 대변인의 조기 귀국은 철저히 ‘윤 전 대변인 본인의 결정’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수석은 이날 청와대에서 기자들과 만나 “8일 오전 9시 20~30분쯤 윤 전 대변인을 영빈관 앞 길거리에서 만나 성추행 사건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정도의 대화를 5분 정도 나눈 것으로 기억한다”며 “윤 전 대변인의 주장처럼 귀국을 종용했다거나 비행기 예약을 했다는 얘기는 한 기억이 없다”고 밝혔다. 윤 전 대변인이 해명 과정에서 거짓말을 했다는 말인 셈이다.
앞서 청와대 관계자는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 8일 상황에 대해 조찬 행사 직전 홍보비서실과 윤 전 대변인 간에 ‘1차 통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당시 통화에서 윤 전 대변인은 주미(駐美) 한국문화원에 성희롱을 당했다고 주장하는 여성이 와서 울고 있다고 말을 전해 듣고 “(한국으로) 돌아가겠다”고 먼저 귀국 의사를 밝혔다는 것이다.
또 행사 직후 이어진 ‘2차 통화’에서 윤 전 대변인이 홍보비서실로부터 미국 경찰의 수사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전해 받은 뒤 조기 귀국을 결정하고, 비행기표문의까지 해왔다는 것이 청와대 홍보비서실의 설명이다.
귀국 배경에 대해 윤 전 대변인과 청와대의 설명이 엇갈림에 따라 ‘진실 공방’ 등 후폭풍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윤 전 대변인의 해명이 사실이라면 사건을 조기에 진화하기 위해 청와대가 조직적인 거짓말을 한 셈이 된다. 이럴 경우 청와대가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더 큰 논란이 생길 수 있다.
한편 이 수석은 윤 전 대변인 외에 청와대 상부의 추가적인 책임이 있어야 한다는 ‘책임 공방’에 대해 일단 “책임을 질 상황이 있다면 나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유동근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