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정치] 최대석 전 외교국방통일분과 인수위원이 국가정보원의 ‘대북(對北) 첩보’ 업무보고를 받는 과정에서 목영만 기조실장과 언쟁을 벌였던 것으로 16일 확인됐다. 임명 엿새 만에 전격 사퇴한 최 전 위원의 낙마 배경으로 국정원 개입설이 새롭게 제기됐다.
지난 12일 국정원 업무보고에 참석했던 한 인수위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최 전 위원과 목 실장의 언쟁 장면을 자세히 묘사했다. 그는 “기조실장이 국정원의 대북 첩보 업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최 전 위원이 갑자기 말을 자르고 언성을 높였다”며 “‘업무보고를 하는데 그렇게 고압적인 자세로 임하면 되겠느냐’며 따져 물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보고에 참석했던 다른 인수위 관계자도 “목 실장의 무성의한 태도가 문제됐다”며 “목 실장이 최 전 위원의 지적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국회 정보위에서 보고했던 내용이라 생략했다’고 해명해 분위기가 싸했다”고 증언했다. 최 전 위원은 보고가 채 끝나기도 전에 자리를 뜬 것으로 알려졌다.
최 전 위원과 국정원 고위 간부가 언쟁을 벌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내막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정원의 ‘비둘기파 제거설’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국정원이 최 전 위원을 비롯해 온건·합리 성향의 대북관을 가진 인수위원들을 배제하기 위해 ‘부적절한 대북접촉’이 있었던 것처럼 외부에 정보를 흘렸다는 설명이다. 비둘기파가 대북접촉·정보수집 등 국정원 소관인 업무를 통일부로 이전할 것을 주장해 갈등이 증폭됐다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새누리당 K의원이 지난해 12월 말 중국을 방문해 북한 관계자와 접촉을 시도했고 배후에 최 전 위원이 있다는 설이 제기됐다. 집권도 하기 전에 친박(親朴·친박근혜계) 의원이 정부 허가 없이 대북 접촉을 추진, 월권했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강영식 사무총장은 “당시 K의원 외에도 Y의원·K 전 의원 등 친박 인사들의 접촉 추진설이 파다했던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최 전 위원의 성향으로 볼 때 박 당선인에게 미리 보고했거나, 정부 사전 승인을 받지 않고 일을 추진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설명했다. 당사자인 K의원 역시 접촉설을 부인했다.
결국 최 전 위원과 현 정부의 불편한 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자진 사퇴로 이어졌을 것이란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최 전 위원이 5·24 조치 완화를 주장했던 부분도 현 정부의 ‘정권 이양 전 완화 불가’ 방침과 대립됐다는 얘기다. 연장선에서 정부가 최 전 위원 부인의 개인비리 의혹을 제기하며 전방위로 압박해오자 명예를 중시하는 최 전 위원이 자진 낙마를 택했다는 지인들의 설명도 나오고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유동근 기자 [email protected]
지난 12일 국정원 업무보고에 참석했던 한 인수위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최 전 위원과 목 실장의 언쟁 장면을 자세히 묘사했다. 그는 “기조실장이 국정원의 대북 첩보 업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최 전 위원이 갑자기 말을 자르고 언성을 높였다”며 “‘업무보고를 하는데 그렇게 고압적인 자세로 임하면 되겠느냐’며 따져 물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보고에 참석했던 다른 인수위 관계자도 “목 실장의 무성의한 태도가 문제됐다”며 “목 실장이 최 전 위원의 지적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국회 정보위에서 보고했던 내용이라 생략했다’고 해명해 분위기가 싸했다”고 증언했다. 최 전 위원은 보고가 채 끝나기도 전에 자리를 뜬 것으로 알려졌다.
최 전 위원과 국정원 고위 간부가 언쟁을 벌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내막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정원의 ‘비둘기파 제거설’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국정원이 최 전 위원을 비롯해 온건·합리 성향의 대북관을 가진 인수위원들을 배제하기 위해 ‘부적절한 대북접촉’이 있었던 것처럼 외부에 정보를 흘렸다는 설명이다. 비둘기파가 대북접촉·정보수집 등 국정원 소관인 업무를 통일부로 이전할 것을 주장해 갈등이 증폭됐다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새누리당 K의원이 지난해 12월 말 중국을 방문해 북한 관계자와 접촉을 시도했고 배후에 최 전 위원이 있다는 설이 제기됐다. 집권도 하기 전에 친박(親朴·친박근혜계) 의원이 정부 허가 없이 대북 접촉을 추진, 월권했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강영식 사무총장은 “당시 K의원 외에도 Y의원·K 전 의원 등 친박 인사들의 접촉 추진설이 파다했던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최 전 위원의 성향으로 볼 때 박 당선인에게 미리 보고했거나, 정부 사전 승인을 받지 않고 일을 추진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설명했다. 당사자인 K의원 역시 접촉설을 부인했다.
결국 최 전 위원과 현 정부의 불편한 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자진 사퇴로 이어졌을 것이란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최 전 위원이 5·24 조치 완화를 주장했던 부분도 현 정부의 ‘정권 이양 전 완화 불가’ 방침과 대립됐다는 얘기다. 연장선에서 정부가 최 전 위원 부인의 개인비리 의혹을 제기하며 전방위로 압박해오자 명예를 중시하는 최 전 위원이 자진 낙마를 택했다는 지인들의 설명도 나오고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유동근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