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언주 의원, “리콜하던지 공식사과 있어야” 주장
[쿠키 건강] 24일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농심라면에서 벤조피렌이 검출된 것과 관련, 문제제기를 한 이언주 의원은 해당 제품을 리콜하던지, 식약청과 해당업체의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할 것을 요구했다. 이희성 식약청장은 관련 내용을 검토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농심 측은 곧바로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안전하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하며 진화에 나섰다.
농심은 홈페이지를 통해 “농심제품은 전 세계 80여국에 수출되고 있지만 벤조피렌 안전성 문제가 제기된 경우는 한 건도 없었다”며 “금번 벤조피렌 노출량은 조리육류 벤조피렌 노출량보다 1만6000배 낮은 수준”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이같은 수치는 매 끼니마다 평생 섭취해도 인체에 무해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벤조피렌이 검출된 것으로 알려진 라면은 ▲순한 너구리▲얼큰한 너구리▲생생우동 용기면▲너구리 큰사발면▲너구리컵▲새우탕 큰사발면 등으로 모두 농심 대표 제품들이다.
현재 벤조피렌은 훈연·가열공정에서 불가피하게 생성되는 물질로 통상 원료에 대한 기준을 설정·관리하며, 전 세계적으로 가공식품에 별도의 벤조피렌 기준을 설정하고 있는 국가는 없다.
하지만 이번 국정감사에서 이언주 의원의 문제제기가 있자 사건이 크게 불거진 것.
이언주 의원은 종합국감서 이희성 식약청장에게 “사건을 알고도 무마한 것은 소비자를 우롱한 것”이라며 “그 당시 제품을 리콜하던지, 공식적인 입장 표명과 대처 있어야 했다”고 꼬집었다.
한편 식약청 고위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언주 의원이 공개한 자료는 식약청에서 준 자료”라며 “과연 라면의 벤조피렌이 크게 문제가 됐다면 해명이나 여타의 설명도 없이 자료를 의원실에서
줬겠냐”고 반문했다. 이어 “이 의원 말대로라면 어느 정도 태워서 먹는 삼겹살이나 갈비구이 등의 벤조피렌은 또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email protected]
[쿠키 건강] 24일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농심라면에서 벤조피렌이 검출된 것과 관련, 문제제기를 한 이언주 의원은 해당 제품을 리콜하던지, 식약청과 해당업체의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할 것을 요구했다. 이희성 식약청장은 관련 내용을 검토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농심 측은 곧바로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안전하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하며 진화에 나섰다.
농심은 홈페이지를 통해 “농심제품은 전 세계 80여국에 수출되고 있지만 벤조피렌 안전성 문제가 제기된 경우는 한 건도 없었다”며 “금번 벤조피렌 노출량은 조리육류 벤조피렌 노출량보다 1만6000배 낮은 수준”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이같은 수치는 매 끼니마다 평생 섭취해도 인체에 무해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벤조피렌이 검출된 것으로 알려진 라면은 ▲순한 너구리▲얼큰한 너구리▲생생우동 용기면▲너구리 큰사발면▲너구리컵▲새우탕 큰사발면 등으로 모두 농심 대표 제품들이다.
현재 벤조피렌은 훈연·가열공정에서 불가피하게 생성되는 물질로 통상 원료에 대한 기준을 설정·관리하며, 전 세계적으로 가공식품에 별도의 벤조피렌 기준을 설정하고 있는 국가는 없다.
하지만 이번 국정감사에서 이언주 의원의 문제제기가 있자 사건이 크게 불거진 것.
이언주 의원은 종합국감서 이희성 식약청장에게 “사건을 알고도 무마한 것은 소비자를 우롱한 것”이라며 “그 당시 제품을 리콜하던지, 공식적인 입장 표명과 대처 있어야 했다”고 꼬집었다.
한편 식약청 고위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언주 의원이 공개한 자료는 식약청에서 준 자료”라며 “과연 라면의 벤조피렌이 크게 문제가 됐다면 해명이나 여타의 설명도 없이 자료를 의원실에서
줬겠냐”고 반문했다. 이어 “이 의원 말대로라면 어느 정도 태워서 먹는 삼겹살이나 갈비구이 등의 벤조피렌은 또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