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매년 국정감사에서 지적돼 온 여드름 약이 또 거론됐다. 복용하면 자칫 키가 안 클 수 있는 여드름 약이 무차별 처방되고 있다는 보건복지위원의 경고다.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곡 이언주 의원은 “현재 이소트레티노인(isotretinoin) 성분의 여드름치료제는 현재 국내에서 한국로슈의 ‘로아큐탄’ 등 15개 제약사 41개 품목이 생산·유통되고 있다”며 “그런데 이 약은 청소년 건강에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12~17세 소아에는 신중히 투여해야 한다”며 “특히 고용량 장기간 투여 시 조기골단폐쇄를 일으켜 소아의 정상적인 성장?발달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키가 안 클 수 있는 것이다”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같은 경고에도 ‘로아큐탄’ 등은 2010년부터 2012년 상반기까지 5887만원, 약 17만 개가 12세 미만 소아에게 처방됐다. 특히 로슈 한국법인은 우리나라에서 여전히 판매를 지속하고 있고, 이에 따라 복제약들도 여전히 잘 팔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 의원은 “향후 심평원은 로아큐탄 등이 무차별적으로 처방돼 발생하는 소아청소년의 의약품 오남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해당 제품들의 건강보험 급여를 중단해야 한다”며 “가임기 여성이 이 약을 복용 중에 임신하거나, 약을 끊은 후 1개월 내에 임신을 하는 경우, 기형아를 출산할 가능성(최기형성)이 매우 높다”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email protected]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곡 이언주 의원은 “현재 이소트레티노인(isotretinoin) 성분의 여드름치료제는 현재 국내에서 한국로슈의 ‘로아큐탄’ 등 15개 제약사 41개 품목이 생산·유통되고 있다”며 “그런데 이 약은 청소년 건강에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12~17세 소아에는 신중히 투여해야 한다”며 “특히 고용량 장기간 투여 시 조기골단폐쇄를 일으켜 소아의 정상적인 성장?발달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키가 안 클 수 있는 것이다”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같은 경고에도 ‘로아큐탄’ 등은 2010년부터 2012년 상반기까지 5887만원, 약 17만 개가 12세 미만 소아에게 처방됐다. 특히 로슈 한국법인은 우리나라에서 여전히 판매를 지속하고 있고, 이에 따라 복제약들도 여전히 잘 팔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 의원은 “향후 심평원은 로아큐탄 등이 무차별적으로 처방돼 발생하는 소아청소년의 의약품 오남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해당 제품들의 건강보험 급여를 중단해야 한다”며 “가임기 여성이 이 약을 복용 중에 임신하거나, 약을 끊은 후 1개월 내에 임신을 하는 경우, 기형아를 출산할 가능성(최기형성)이 매우 높다”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