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 건강] 최근 젊은 여성들에게 자궁질환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 중 난소낭종 같은 질환은 병이 진행되기 전까지 자각이 힘들어 그 위험성이 더욱 높다.
난소낭종은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서 난소의 점막에 염증과 부종을 일으켜 낭포를 생성시키는 질환이다.
양성 난소종양이 발견됐을 경우 낭종 적출술이나 난관 절제술 등으로 치료하지만 재발률도 높은 편이고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난소낭종은 종류 또한 여러 가지인데, 대부분 저절로 파열되어 점차적으로 사라지지만 종류에 따라 호르몬 생산이 계속돼 무월경을 일으키고 그 후 불규칙적인 자궁출혈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낭종 안으로 갑작스러운 출혈이 일어나 골반통을 일으킬 수도 있고, 낭종이 파열되어 복강내 출혈이 생겼을 때엔 복막염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다낭성 난소 증후군은 무월경과 생리불순을 동반하며 배란이 불가능해지므로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난소낭종은 신체의 기가 허하고 냉한 여성의 신체 수분대사가 원활하지 못해 담음이 형성되고 저항력과 면역력이 떨어져 잦은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난소낭종은 담(痰)과 습(濕)을 제거하며 기운을 푸는 것이 우선, 먼저 거담제습법으로 담과 습을 다스린다. 이 과정에서 노폐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보통 자연스럽게 체중 감량이 되며, 그 후 허냉성 체질을 따뜻하게 하고 체력을 증강시켜 수분대사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온보제를 사용한다.
박성우 경희보궁한의원 원장은 “난소낭종은 치유를 했다고 해서 한 번에 완치가 되는 병이 아니기 때문에 다시 생기지 않도록 근본적인 치료가 필요하므로 오랜 시간이 걸려도 인내심을 갖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