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 문화] 국립오페라단 이소영(49) 단장의 주요 경력이 대부분 허위라는 주장이 또다시 제기됐다.
21일 프레시안에 따르면 국립오페라합창단을 해체시켜 시민사회단체의 비난을 받았던 이소영 국립오페라단 단장의 주요 경력 4개 중 3개는 사실무근이다.
이 단장의 주요 경력은 서울대학교 오페라연구소 소장(1998년-1999년)과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2002년부터), 국립오페라단 초대 상임연출가(2003년), 도니제티 국제음악아카데미 교수(2006년-2008년) 등이다.
하지만 국회 문화체육방송관광통신위원회 소속 정장선 의원(민주당)과 최문순 의원(민주당)에 따르면 이 가운데 3가지는 허위거나 부풀려진 경력이었다.
이 단장은 본인이 서울대학교 오페라연구소 소장을 지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서울대 측은 공문을 통해 이를 부인했다. 프레시안은 "1993년 설립 이래 현재까지 8명의 소장이 있었지만 역대 소장 명단에는 이 단장의 이름은 없다"고 설명했다.
당시 소장으로 근무한 걸로 기록된 박세원 성악과 교수는 "연구소는 학교로부터 어떤 공식적 급여나 직책도 받지 않는 순수 연구 모임의 단체로 (내가 소장일 때) 이소영을 부소장으로 임명해 소장의 역할을 병행하게 했다"고 한차례 해명한 바 있다.
프레시안은 "도니제티 아카데미 교수라는 경력도 수상 구석이 많다"며 "도니제티 아카데미는 이 단장을 '외국인 초빙교수'로 임명했다고 설명했지만, 이 단장은 이 아카데미가 위치한 이탈리아 마자테시에서 강의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다"고 의문을 드러냈다.
이 단장과 아카데미 측에 따르면 이 단장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경기도 분당에 위치한 도니제티 국제음악원에서 강의를 했다.
하지만 프레시안은 "이 음악원은 성악, 악기, 지휘, 연출 등과 관련된 학위를 주는 정식학교가 아닌 사설 학원에 불과하다"며 "이 단장을 '외국인 초빙교수'로 임명했다는 이탈리아의 도니제티 아카데미 역시 석사나 박사 등 정식 학위를 주는 학교가 아니라 한국에서의 '수료증'에 해당되는 졸업장을 주는 사설학원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프레시안은 또 이 단장이 밝힌 제1대 국립오페라단 상임연출가라는 경력도 거짓이라며 이 단장은 당시 상근 연출가였다고 정정했다.
그러면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이 단장의 이 같은 허위 경력을 알고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는 것이 유 장관의 부인과
관련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중앙대 성악과 교수를 지낸 유 장관의 부인과 이 단장의 인연때문에 이 단장의 심각한 결격사유를 모른척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 단장에 대한 경력 의혹은 이달 초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서 이미 제기된 바 있다.
당시 정장선 의원은 “교육과학기술부를 통해 서울대학교에 공식 자료요청을 해 제출받은 자료로 확인한 결과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오페라연구소는 지금까지 8인의 교수가 소장을 역임했다”며 “그 가운데 이소영 단장은 없었다”고 밝혔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팀
[쿠키 문화] 국립오페라단 이소영(49) 단장의 주요 경력이 대부분 허위라는 주장이 또다시 제기됐다.
21일 프레시안에 따르면 국립오페라합창단을 해체시켜 시민사회단체의 비난을 받았던 이소영 국립오페라단 단장의 주요 경력 4개 중 3개는 사실무근이다.
이 단장의 주요 경력은 서울대학교 오페라연구소 소장(1998년-1999년)과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2002년부터), 국립오페라단 초대 상임연출가(2003년), 도니제티 국제음악아카데미 교수(2006년-2008년) 등이다.
하지만 국회 문화체육방송관광통신위원회 소속 정장선 의원(민주당)과 최문순 의원(민주당)에 따르면 이 가운데 3가지는 허위거나 부풀려진 경력이었다.
이 단장은 본인이 서울대학교 오페라연구소 소장을 지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서울대 측은 공문을 통해 이를 부인했다. 프레시안은 "1993년 설립 이래 현재까지 8명의 소장이 있었지만 역대 소장 명단에는 이 단장의 이름은 없다"고 설명했다.
당시 소장으로 근무한 걸로 기록된 박세원 성악과 교수는 "연구소는 학교로부터 어떤 공식적 급여나 직책도 받지 않는 순수 연구 모임의 단체로 (내가 소장일 때) 이소영을 부소장으로 임명해 소장의 역할을 병행하게 했다"고 한차례 해명한 바 있다.
프레시안은 "도니제티 아카데미 교수라는 경력도 수상 구석이 많다"며 "도니제티 아카데미는 이 단장을 '외국인 초빙교수'로 임명했다고 설명했지만, 이 단장은 이 아카데미가 위치한 이탈리아 마자테시에서 강의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다"고 의문을 드러냈다.
이 단장과 아카데미 측에 따르면 이 단장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경기도 분당에 위치한 도니제티 국제음악원에서 강의를 했다.
하지만 프레시안은 "이 음악원은 성악, 악기, 지휘, 연출 등과 관련된 학위를 주는 정식학교가 아닌 사설 학원에 불과하다"며 "이 단장을 '외국인 초빙교수'로 임명했다는 이탈리아의 도니제티 아카데미 역시 석사나 박사 등 정식 학위를 주는 학교가 아니라 한국에서의 '수료증'에 해당되는 졸업장을 주는 사설학원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프레시안은 또 이 단장이 밝힌 제1대 국립오페라단 상임연출가라는 경력도 거짓이라며 이 단장은 당시 상근 연출가였다고 정정했다.
그러면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이 단장의 이 같은 허위 경력을 알고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는 것이 유 장관의 부인과
관련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중앙대 성악과 교수를 지낸 유 장관의 부인과 이 단장의 인연때문에 이 단장의 심각한 결격사유를 모른척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 단장에 대한 경력 의혹은 이달 초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서 이미 제기된 바 있다.
당시 정장선 의원은 “교육과학기술부를 통해 서울대학교에 공식 자료요청을 해 제출받은 자료로 확인한 결과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오페라연구소는 지금까지 8인의 교수가 소장을 역임했다”며 “그 가운데 이소영 단장은 없었다”고 밝혔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