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경제] 친환경 연료전지 선박을 두고 글로벌 전쟁이 시작됐다.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은 정부 지원 하에 기존 디젤엔진 대신 연료전지를 장착한 선박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6년까지 선박의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80%나 감축하도록 하는 국제해양오염방지협약이 발효되는 등 해양 오염 규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정부의 무관심 속에 기업들이 선박용 연료전지 사업조차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조선업계 1위 타이틀을 내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차세대 성장엔진의 하나로 꼽히는 연료전지 선박 부문 투자는 독일 등 유럽연합(EU)이 가장 적극적이다. EU에서 520만유로(약 100억원)을 지원받은 독일은 내년까지 시행되는 ‘젬(ZEM)프로젝트’를 통해 이미 100인승 내륙 수로용 연료전지 선박을 개발, 시험운행에 돌입했다. 노르웨이는 독일, 스웨덴, 핀란드, 스페인과 함께 ‘펠로십(FellowShip)’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2010년까지 3단계에 걸쳐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전지 선박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와 함께 선박 보조전원용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한 별도의 프로젝트까지 병행하며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처럼 유럽이 독보적으로 기술을 선점하자 이번엔 일본이 나섰다. 일본 해상운송업체 NYK는 지난 4월16일 ‘NYK 슈퍼 에코 쉽 2030’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2030년까지 현재 선박보다 69%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가진 80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연료전지 컨테이너 선박 개발을 천명했다. 미국도 해군 방위산업과제를 선정, 선박용 2.5㎿급 연료전지 동력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프랑스, 스위스, 아이슬란드도 각각 예인선, 여객선, 어선용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선박용 연료전지의 시장 규모는 국내 연간 4조∼6조원, 유럽은 연간 50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만 정부 지원하에 운영될 뿐 선박용에 대한 지원과 기술 개발은 전무하다. 연료전지 사업자 가운데 포스코파워만 유일하게 올해 말까지 연구개발(R&D)에 착수키로 결정했을 뿐이다.
한국선급이 지난 5월 ‘친환경 연료전지 선박 연구회’를 발족, 기업 등 70여개 유관단체가 참가했지만 직접 투자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연료전지 사업자-조선사-선주-해운사로 이어지는 관계가 복잡해 정부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키까지 이를 미루고 있는 것이다. 한국선급 관계자는 9일 “국제 규정에 따르는 선박의 특수성을 고려해 범국가적 차원에서 분야별 컨소시엄을 구성해 대응해야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강준구 기자
[email protected]
그러나 우리나라는 정부의 무관심 속에 기업들이 선박용 연료전지 사업조차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조선업계 1위 타이틀을 내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차세대 성장엔진의 하나로 꼽히는 연료전지 선박 부문 투자는 독일 등 유럽연합(EU)이 가장 적극적이다. EU에서 520만유로(약 100억원)을 지원받은 독일은 내년까지 시행되는 ‘젬(ZEM)프로젝트’를 통해 이미 100인승 내륙 수로용 연료전지 선박을 개발, 시험운행에 돌입했다. 노르웨이는 독일, 스웨덴, 핀란드, 스페인과 함께 ‘펠로십(FellowShip)’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2010년까지 3단계에 걸쳐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전지 선박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와 함께 선박 보조전원용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한 별도의 프로젝트까지 병행하며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처럼 유럽이 독보적으로 기술을 선점하자 이번엔 일본이 나섰다. 일본 해상운송업체 NYK는 지난 4월16일 ‘NYK 슈퍼 에코 쉽 2030’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2030년까지 현재 선박보다 69%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가진 80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연료전지 컨테이너 선박 개발을 천명했다. 미국도 해군 방위산업과제를 선정, 선박용 2.5㎿급 연료전지 동력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프랑스, 스위스, 아이슬란드도 각각 예인선, 여객선, 어선용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선박용 연료전지의 시장 규모는 국내 연간 4조∼6조원, 유럽은 연간 50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만 정부 지원하에 운영될 뿐 선박용에 대한 지원과 기술 개발은 전무하다. 연료전지 사업자 가운데 포스코파워만 유일하게 올해 말까지 연구개발(R&D)에 착수키로 결정했을 뿐이다.
한국선급이 지난 5월 ‘친환경 연료전지 선박 연구회’를 발족, 기업 등 70여개 유관단체가 참가했지만 직접 투자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연료전지 사업자-조선사-선주-해운사로 이어지는 관계가 복잡해 정부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키까지 이를 미루고 있는 것이다. 한국선급 관계자는 9일 “국제 규정에 따르는 선박의 특수성을 고려해 범국가적 차원에서 분야별 컨소시엄을 구성해 대응해야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강준구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