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 정치] 한나라당 안팎에서 지도부 사퇴를 포함한 강도 높은 쇄신 요구가 갈수록 힘을 얻고 있다. 한나라당 쇄신특위 위원들은 1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여의도 당사에서 개최한 첫 회의에서 당을 포함한 국정운영 전반의 쇄신 필요성을 한 목소리로 주장했다.
먼저 노 전 대통령 서거와 관련된 정국 수습 방안으로 청와대와 내각의 쇄신 문제가 거론됐다. 조기 전당대회 등을 통한 당 쇄신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는 만큼 일단 청와대와 정부가 인적 쇄신을 주도해 분위기를 전환하는 방안이 적극 논의됐다. 정태근 의원은 상당히 심각한 현 정국 상황에서 국민을 위로하고 서로 화합하기 위한 메시지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당내 계파 문제 해소 방안과 조기 전대를 통한 지도부 교체 문제도 제기됐다. 특히 친이계 임해규 의원은 "비록 내가 친이계로 분류되지만 지금은 당내 계파라는 게 있을 수 없는 엄중한 상황"이라며 "사즉생의 자세로 현 상황에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태 의원은 박희태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 교체를 정면 주장했다. 김 의원은 "당의 현 체제로는 혁신을 위한 노력을 국민에게 전달하기 어렵다"면서 "하루빨리 조기 전대 결정을 내려 당이 먼저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정부나 청와대의 변화를 촉구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쇄신위는 이외에도 권력비리에 대한 검찰의 수사 관행과 사정 기구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수도권 재선의원은 "현 검찰·청와대의 사정 시스템으로는 살아있는 권력의 비리를 감시하고 통제하는 게 어렵다"며 "현 정권 비리 감시와 처벌 기능까지 포함하는 제 3의 감찰기관 필요성은 이전부터 논의돼 왔다"고 전했다.
당내 소장파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21'도 지도부의 용퇴를 촉구했다. 민본21은 긴급 회동을 갖고 당·정·청 쇄신을 선도하기 위한 박희태 대표의 결단을 요구했다.
그러나 박 대표측은 "떼밀려서 나가는 일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박 대표측 핵심관계자는 "현재 한나라당의 모습은 적전분열 양상"이라며 "무책임한 주장들에 밀려서 집권당 대표의 처신을 결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일부 소장파와 쇄신특위 위원들이 박 대표 사퇴를 요구하고 있으나, 대다수 의원들의 분위기는 다르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여기에 인적 쇄신의 키를 쥐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과 청와대도 박 대표 사퇴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박 대표 사퇴 요구가 확산될 지, 아니면 찻잔 속의 태풍으로 정리될 지는 4일 의원연찬회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노용택 기자
[email protected]
▶뭔데 그래◀ 서울광장 봉쇄 적절한가
[쿠키 정치] 한나라당 안팎에서 지도부 사퇴를 포함한 강도 높은 쇄신 요구가 갈수록 힘을 얻고 있다. 한나라당 쇄신특위 위원들은 1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여의도 당사에서 개최한 첫 회의에서 당을 포함한 국정운영 전반의 쇄신 필요성을 한 목소리로 주장했다.
먼저 노 전 대통령 서거와 관련된 정국 수습 방안으로 청와대와 내각의 쇄신 문제가 거론됐다. 조기 전당대회 등을 통한 당 쇄신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는 만큼 일단 청와대와 정부가 인적 쇄신을 주도해 분위기를 전환하는 방안이 적극 논의됐다. 정태근 의원은 상당히 심각한 현 정국 상황에서 국민을 위로하고 서로 화합하기 위한 메시지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당내 계파 문제 해소 방안과 조기 전대를 통한 지도부 교체 문제도 제기됐다. 특히 친이계 임해규 의원은 "비록 내가 친이계로 분류되지만 지금은 당내 계파라는 게 있을 수 없는 엄중한 상황"이라며 "사즉생의 자세로 현 상황에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태 의원은 박희태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 교체를 정면 주장했다. 김 의원은 "당의 현 체제로는 혁신을 위한 노력을 국민에게 전달하기 어렵다"면서 "하루빨리 조기 전대 결정을 내려 당이 먼저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정부나 청와대의 변화를 촉구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쇄신위는 이외에도 권력비리에 대한 검찰의 수사 관행과 사정 기구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수도권 재선의원은 "현 검찰·청와대의 사정 시스템으로는 살아있는 권력의 비리를 감시하고 통제하는 게 어렵다"며 "현 정권 비리 감시와 처벌 기능까지 포함하는 제 3의 감찰기관 필요성은 이전부터 논의돼 왔다"고 전했다.
당내 소장파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21'도 지도부의 용퇴를 촉구했다. 민본21은 긴급 회동을 갖고 당·정·청 쇄신을 선도하기 위한 박희태 대표의 결단을 요구했다.
그러나 박 대표측은 "떼밀려서 나가는 일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박 대표측 핵심관계자는 "현재 한나라당의 모습은 적전분열 양상"이라며 "무책임한 주장들에 밀려서 집권당 대표의 처신을 결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일부 소장파와 쇄신특위 위원들이 박 대표 사퇴를 요구하고 있으나, 대다수 의원들의 분위기는 다르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여기에 인적 쇄신의 키를 쥐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과 청와대도 박 대표 사퇴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박 대표 사퇴 요구가 확산될 지, 아니면 찻잔 속의 태풍으로 정리될 지는 4일 의원연찬회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노용택 기자
[email protected]
▶뭔데 그래◀ 서울광장 봉쇄 적절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