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 정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이후 정국 운영에 대한 여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일단 당 차원에서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예의를 갖춰 애도를 표하며 한껏 몸을 낮춘 채 정국 향방을 주시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24일 당사에 근조 현수막을 내걸었다. 또 한나라당 의원들의 각 지역구 사무실에도 근조 현수막 걸기로 하는 등 노 전 대통령 죽음에 대한 예를 갖추기로 했다. 박희태 대표는 27일까지로 예정된 호주 방문 일정을 중단하고 이날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급거 귀국했다. 박 대표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청천벽력 같은 일이다. 어찌 이런 일이 있었느냐"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또 25일 열릴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지도부 차원의 조문 일정을 논의키로 했다.
전날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한 지도부들도 노 전 대통령을 추모하는 발언을 이어갔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1976년 노 전 대통령 등과 함께 찍은 사진을 공개하면서 "이 사진을 들여다보면서 깊은 감회에 젖었고, 정치가 팍팍하지 않고 화해와 평화의 길로 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정몽준 최고위원은 "노 전 대통령은 국민의 선택을 받아서 국가발전을 위해 노력한 국가원수였다"고 평가했다.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는 자신이 운영하는 싸이월드 미니홈피에 검은 정장 차림의 묵념사진을 올리고, "삼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명복을 빕니다"라는 문구를 통해 애도의 뜻을 전했다.
여당은 극진한 노 전 대통령 애도에도 불구하고 향후 정국이 어느 방향으로 전개될지 몰라 긴장하는 모습이다. 대다수의 의원들은 '지금은 앞으로 상황을 예상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극도로 말을 아꼈다. 당 일각에서는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반대 투쟁으로 촉발된 촛불집회를 떠올리며 이번 사태가 전국적인 반정부 투쟁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검찰 책임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검찰의 과도한 밀어붙이기식 수사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는 만큼 당 차원서도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부와 한나라당이 상당기간 정국 주도권을 상실할 것에 대한 우려도 크다. 당 사무처 관계자는 "당장 6월 MB 개혁입법 추진에 차질이 불가피해졌고, 정부의 국정운영 전반에도 큰 걸림돌이 생긴 셈"이라고 우려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노용택 기자
[email protected]
[쿠키 정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이후 정국 운영에 대한 여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일단 당 차원에서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예의를 갖춰 애도를 표하며 한껏 몸을 낮춘 채 정국 향방을 주시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24일 당사에 근조 현수막을 내걸었다. 또 한나라당 의원들의 각 지역구 사무실에도 근조 현수막 걸기로 하는 등 노 전 대통령 죽음에 대한 예를 갖추기로 했다. 박희태 대표는 27일까지로 예정된 호주 방문 일정을 중단하고 이날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급거 귀국했다. 박 대표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청천벽력 같은 일이다. 어찌 이런 일이 있었느냐"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또 25일 열릴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지도부 차원의 조문 일정을 논의키로 했다.
전날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한 지도부들도 노 전 대통령을 추모하는 발언을 이어갔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1976년 노 전 대통령 등과 함께 찍은 사진을 공개하면서 "이 사진을 들여다보면서 깊은 감회에 젖었고, 정치가 팍팍하지 않고 화해와 평화의 길로 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정몽준 최고위원은 "노 전 대통령은 국민의 선택을 받아서 국가발전을 위해 노력한 국가원수였다"고 평가했다.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는 자신이 운영하는 싸이월드 미니홈피에 검은 정장 차림의 묵념사진을 올리고, "삼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명복을 빕니다"라는 문구를 통해 애도의 뜻을 전했다.
여당은 극진한 노 전 대통령 애도에도 불구하고 향후 정국이 어느 방향으로 전개될지 몰라 긴장하는 모습이다. 대다수의 의원들은 '지금은 앞으로 상황을 예상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극도로 말을 아꼈다. 당 일각에서는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반대 투쟁으로 촉발된 촛불집회를 떠올리며 이번 사태가 전국적인 반정부 투쟁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검찰 책임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검찰의 과도한 밀어붙이기식 수사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는 만큼 당 차원서도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부와 한나라당이 상당기간 정국 주도권을 상실할 것에 대한 우려도 크다. 당 사무처 관계자는 "당장 6월 MB 개혁입법 추진에 차질이 불가피해졌고, 정부의 국정운영 전반에도 큰 걸림돌이 생긴 셈"이라고 우려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노용택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