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합참](https://kuk.kod.es/data/kuk/image/2024/05/16/kuk202405160139.300x169.0.jpg)
[속보] 합참 "북, 동해 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 발사"
합참 "북, 동해 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 발사"... [정혜선]
북한이 사흘 연속으로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했다. 27일 합동참모본부는 전날 오후 9시 13분께 국방부 출입기자단에 배포한 문자메시지를 통해 "북한이 대남 오물 풍선(추정)을 또다시 부양하고 있다"고 밝혔다. ... 2024-06-27 05:42 [정혜선]
북한이 동해상으로 미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최근 6번째 오물풍선을 살포한데 이어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복합 도발 양상을 보이고 있다. 26일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5시 35분께 국방부 출입기자단에 ... 2024-06-26 06:15 [정혜선]
북한이 보름 만에 다시 오물풍선을 남측으로 띄워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대남 오물풍선을 살포한 것은 올해 들어 다섯 번째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24일 밤 대남 오물풍선 추정 물체를 부양하고 있다... 2024-06-24 22:08 [박선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6월 19일 평양에서 북러 간의 군사동맹 관계를 완전히 복원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로씨야련방사이의 포괄적인 전략적동반자관계에 관한 ... 2024-06-20 13:44 [이영수]
임현범 기자 [email protected]... 2024-06-20 10:50 [임현범]
북한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러시아제 리무진 아우루스를 선물했다. 지난 2월에 이어 두 번째다. 20일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담당 보좌관은 전날 “푸... 2024-06-20 05:49 [정혜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양측이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서명했다고 러시아 스푸트니크 인테르팍스 통신이 보도했다. 양측... 2024-06-19 20:00 [김은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공식 환영식을 마친 뒤 북러 정상회담에 들어갔다고 러시아 관영 매체들이 19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오후 평양 김일... 2024-06-19 14:23 [박효상]
푸틴 “차기 러북 정상회담, 모스크바서 개최 희망”... 2024-06-19 14:05 [이영수]
푸틴 “北, 우크라 포함한 러 정책에 변함없는 지지에 감사”... 2024-06-19 13:43 [이영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해 국빈 방문 일정을 시작했다. 로이터통신과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직접 공항에서 푸틴 대통령을 ... 2024-06-19 05:14 [정혜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18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북한을 방문한다고 러시아와 북한이 동시에 발표했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2000년 7월 이후 24년 만이다. ... 2024-06-18 05:17 [정혜선]
북한의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2021년 11월부터 자신의 딸 김주애를 ICBM 시험발사 현장과 각종 군사 관련 현지지도에 자주 대동하고, 김주애에 대한 의전이 계속 격상되면서 그가 김정은의 후계자로 ‘내정&rsqu... 2024-06-13 10:55 [이영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며칠 내로 북한을 방문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12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3국 순방을 수행 중인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 기간 수도 ... 2024-06-13 06:38 [정혜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러시아 국경일인 ‘러시아의 날’(12일)을 하루 앞두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축전을 보냈다. 이 같은 소식은 푸틴 대통령의 이달 중 방북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 2024-06-11 21:46 []
호국보훈의 달인 6월, 군·국방·안보를 둘러싼 여야 정치권 공방이 거세다. 더불어민주당이 ‘채상병 특검법’ 재발의를 시작으로 대북확성기 재개를 비판하자 국민의힘은 9·19 군사합의 실효... 2024-06-11 11:00 [임현범]
KAIST 연구진이 과음으로 인한 간 손상이 발생하는 세포 신호 전달 원리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KAIST 의과학대학원 정원일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 보라매병원 김원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해 음주로 유발되는 간세포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이 꿈의 암 치료로 불리는 카티(CAR-T) 세포 치료를 최근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카티 세포 치료는 환자의 체내에 있는 면역세포(T세포)가 암세포를 찾아 정확히 표적하는 방식이다. 체내 정상세포
골절 위험이 매우 큰 환자에게는 골형성 촉진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현행 보험 급여 기준을 개선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제언이 나왔다. 김범준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23일 열린 제16차 대한골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