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 도종환 장관은 지난 27일 오후 경기도 판교 ‘글로벌게임허브센터’를 찾아 게임업체 푸토엔터테인먼트와 아우러 등을 방문했다.
이날 도 장관은 20여명의 게임업계 주요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게임 자율규제 마련을 위한 ‘민·관 합동규제 개선 협의체’ 운여을 제안했다.
문체부에 따르면 도 장관은 경제적·문화적 가치가 높은 게임산업의 육성 필요성을 강조하고, 게임산업 현장의 생생한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또 게임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기반 구축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모색하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간담회에서 게임업계의 중소업체 경쟁력 제고 등 산업 생태계 복원을 위한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요청에 대해서 도 장관은 “게임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산업의 허리가 되고, 콘텐츠의 창의성과 다양성의 원천이 되는 중소기업이 굳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중소기업이 중견–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 사다리를 만들어주는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도 장관은 ▲게임산업 성장 사다리 펀드 조성 ▲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유통·마케팅 지원 확대 ▲ 창업 보육 및 중소기업 종합 지원을 위한 ‘게임부스트센터’ 구축(2018년 상반기, 판교) 등 게임산업의 역동성 회복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게임업계의 규제 개선 요청에 대해서는 자율 규제 논의를 위한 민·관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도 장관은 “새 정부의 게임산업 규제정책은 정부 주도의 일방적 규제정책에서 벗어나 게임업계의 자율과 책임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그 인식을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관 합동 게임규제 개선 협의체를 구성하고 사회적 공감에 기초한 게임산업 자율규제를 만들어 보자”고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내놨다.
이날 간담회에서 도 장관은 “게임산업이 지닌 경제적, 여가·문화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증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성숙된 게임문화를 만들어가는 노력이 중요하다”며 “게임문화의 진흥은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니, 선도 기업을 중심으로 게임업계가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