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물가 너무 오래 간다…정부와 통화당국의 적극적 대처 필요” 현대경제硏

“저물가 너무 오래 간다…정부와 통화당국의 적극적 대처 필요” 현대경제硏

기사승인 2014-02-13 16:11:00
[쿠키 경제] 최근 지속 중인 저물가 추세가 디플레이션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정부가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3일 ‘저물가 지속 배경’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2년 11월 1.6%로 떨어진 이후 올해 1월(1.1%)까지 15개월 연속 1%대를 유지해 역대 최장기록”이라며 “올해 상승률도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치(2.5~3.5%)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물가 현상이 계속되면 실질금리 상승으로 경제 주체들이 투자와 소비를 줄여 생산이 감소한다. 또 화폐 가치가 상승해 대출이 많은 사람은 부채를 갚는 고통이 커진다.

현재 우리 경제는 국내총생산(GDP)이 잠재 GDP(생산요소를 완전히 투입해 달성할 수 있는 최대GDP)보다 낮은 상황인데다, 통화증가 속도까지 둔화돼 물가상승 압력이 높지 않다. 지난해 물가하락의 가장 주된 요인으로 꼽힌 유가와 원자재 가격 하락세도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유가·원자재의 국제가격에 따라 국내 물가가 큰 영향을 받는데, 국제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으로 2012년 연평균 배럴당 109.0달러에서 2013년 105.3달러로 떨어졌고 원자재 가격도 2012년 중반 이후 하락세를 유지되고 있다.

또 올해 원·달러 환율이 지난해 연평균 1095원보다 절상될 것으로 보여 물가하락 압력은 더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환율이 강세를 보이면 수입물가가 떨어져 국내물가도 동반 하락한다. 연구원은 “기업의 투자 확대, 가계의 소비여력 확충 등 수요 창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노용택 기자 [email protected]
노용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