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 1인당 진료비 대폭 증가
[쿠키 건강] 공공성을 우선으로 공공의료 모델을 만들어야 하는 국립 의료기관들이 수익성 추구에 앞장서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국립중앙의료원과 국립재활원이 국회에 제출한 진료내역을 살펴보면 국립중앙의료원의 경우 모든 진료과에서 1인당 진료비가 급격히 상승했다. 내과는 2010년 36만원이던 1인당 진료비가 54만원으로 불과 1년 새 53%나 올랐고, 외과는 13만원에서 17만원으로, 소아청소년과는 6만원에서 8만원, 정신과는 20만원에서 26만원으로 대폭 올랐다. CT촬영은 더욱 늘어서 신경외과의 경우 405회에서 996회로 145.9%나 증가했고, 내과는 1290회에서 2514회로, 정형외과는 201회에서 389회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국립재활원은 의료급여 환자 진료 30%이상 유지 규정을 어기고 있었다. 최근 5년간 국립의료원의 의료급여 환자 비율은 2008년 24%에서 올해는 10%까지 떨어졌다. 환자들의 평균 입원일수도 기초생활수급자 평균 입원일수는 55일, 장애인은 38일인데 비해 일반인, 건강보험 환자들은 74일에 달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학영(민주통합당) 의원은 “공공의료기관의 존재목적은 공공성”이라며 “국립중앙의료원과 국립재활원은 국가의 중추적 공공의료기관으로 모범을 보이고, 합리적인 진료비와 양질의 의료서비스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email protected]
[쿠키 건강] 공공성을 우선으로 공공의료 모델을 만들어야 하는 국립 의료기관들이 수익성 추구에 앞장서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국립중앙의료원과 국립재활원이 국회에 제출한 진료내역을 살펴보면 국립중앙의료원의 경우 모든 진료과에서 1인당 진료비가 급격히 상승했다. 내과는 2010년 36만원이던 1인당 진료비가 54만원으로 불과 1년 새 53%나 올랐고, 외과는 13만원에서 17만원으로, 소아청소년과는 6만원에서 8만원, 정신과는 20만원에서 26만원으로 대폭 올랐다. CT촬영은 더욱 늘어서 신경외과의 경우 405회에서 996회로 145.9%나 증가했고, 내과는 1290회에서 2514회로, 정형외과는 201회에서 389회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국립재활원은 의료급여 환자 진료 30%이상 유지 규정을 어기고 있었다. 최근 5년간 국립의료원의 의료급여 환자 비율은 2008년 24%에서 올해는 10%까지 떨어졌다. 환자들의 평균 입원일수도 기초생활수급자 평균 입원일수는 55일, 장애인은 38일인데 비해 일반인, 건강보험 환자들은 74일에 달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학영(민주통합당) 의원은 “공공의료기관의 존재목적은 공공성”이라며 “국립중앙의료원과 국립재활원은 국가의 중추적 공공의료기관으로 모범을 보이고, 합리적인 진료비와 양질의 의료서비스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