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 11년 식품·식품첨가물 생산실적 발표
[쿠키 건강] 지난해 식품 생산실적이 전년대비 14.6%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의 해외수출이 두드러진 것이 생산실적을 높인 요인으로 꼽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은 2011년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생산이 44조4483억원으로 전년대비 14.6% 성장세를 보였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인 10.7%보다 높은 수준으로 국제 원자재가 상승과 건강기능식품류 등의 해외 수출증가가 식품 생산실적을 높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11년도 식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주요 내용은 ▲업종별 생산 현황 비교 ▲식품 유형별 생산 및 수출액 현황 비교 ▲업체별 매출 현황 비교 ▲업체별 고용규모 추이 분석 ▲세계 식품산업 시장 동향
등이다.
업종별 생산은 가공식품이 36조1819억원으로 전체의 81.4%를 차지했고, 기구 및 용기포장지 5조5939억원(12.6%), 건강기능식품 1조3682억원(3.1%), 식품첨가물 1조3043억원(2.9%)이 뒤를 이었다.
특히 건강기능식품과 식품첨가물 생산은 수출이 급증하면서 전년 대비 각각 28.2%, 18.3%로 전체 평균 성장(14.6%)보다 높았다.
◇식품 생산실적, 케이크류 104% 초고속 성장
11년 식품유형별 국내 생산은 봉지라면이 1조3602억원으로 09년부터 계속해 1위를 차지하고, 탄산음료 1조2938억원, 기타 빵류 1조1652억원, 밀가루 1조784억원 등의 순이다.
케이크류의 성장률이 104% 초고속 성장한 것을 비롯해 기타 빵류 54.7%, 백설탕 25.8%, 봉지라면 25.3% 등의 순으로 빵류가 약진했다.
◇식품 수출액, 도시락류 2년 연속 1위 고수
11년 식품 수출은 주로 항공사 기내식으로 소비되는 도시락류가 3300억원을 기록하며 10년에 이어 2년 연속 수출 1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백설탕 3034억원, 기타 수산물가공품 2802억원 등의 순이었다.
전년대비 인스턴트커피(68.1%), 빵류 및 커피류에 첨가되는 식물성크림(49.9%), 수산물가공품(47.4%)의 성장세가 돋보였다. 반면 상위 10개 품목 중 어류가공품, 조미김, 기타가공품, 배추김치 등은 전체 평균(20.4%) 수출 성장률에 못 미쳤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email protected]
[쿠키 건강] 지난해 식품 생산실적이 전년대비 14.6%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의 해외수출이 두드러진 것이 생산실적을 높인 요인으로 꼽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은 2011년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생산이 44조4483억원으로 전년대비 14.6% 성장세를 보였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인 10.7%보다 높은 수준으로 국제 원자재가 상승과 건강기능식품류 등의 해외 수출증가가 식품 생산실적을 높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11년도 식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주요 내용은 ▲업종별 생산 현황 비교 ▲식품 유형별 생산 및 수출액 현황 비교 ▲업체별 매출 현황 비교 ▲업체별 고용규모 추이 분석 ▲세계 식품산업 시장 동향
등이다.
업종별 생산은 가공식품이 36조1819억원으로 전체의 81.4%를 차지했고, 기구 및 용기포장지 5조5939억원(12.6%), 건강기능식품 1조3682억원(3.1%), 식품첨가물 1조3043억원(2.9%)이 뒤를 이었다.
특히 건강기능식품과 식품첨가물 생산은 수출이 급증하면서 전년 대비 각각 28.2%, 18.3%로 전체 평균 성장(14.6%)보다 높았다.
◇식품 생산실적, 케이크류 104% 초고속 성장
11년 식품유형별 국내 생산은 봉지라면이 1조3602억원으로 09년부터 계속해 1위를 차지하고, 탄산음료 1조2938억원, 기타 빵류 1조1652억원, 밀가루 1조784억원 등의 순이다.
케이크류의 성장률이 104% 초고속 성장한 것을 비롯해 기타 빵류 54.7%, 백설탕 25.8%, 봉지라면 25.3% 등의 순으로 빵류가 약진했다.
◇식품 수출액, 도시락류 2년 연속 1위 고수
11년 식품 수출은 주로 항공사 기내식으로 소비되는 도시락류가 3300억원을 기록하며 10년에 이어 2년 연속 수출 1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백설탕 3034억원, 기타 수산물가공품 2802억원 등의 순이었다.
전년대비 인스턴트커피(68.1%), 빵류 및 커피류에 첨가되는 식물성크림(49.9%), 수산물가공품(47.4%)의 성장세가 돋보였다. 반면 상위 10개 품목 중 어류가공품, 조미김, 기타가공품, 배추김치 등은 전체 평균(20.4%) 수출 성장률에 못 미쳤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