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문화] 한류 열풍이 K팝, 한국 드라마를 넘어 한글을 배우려는 열기로 이어지고 있다.
22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어세계화재단에 따르면 해외 한국어 교육센터인 ‘세종학당’의 연도별 수강생 수가 2009년 4301명에서 2010년 6016명, 2011년 9348명으로 늘었다. 여기에 재외 한국문화원이 직접 운영하는 세종학당의 수강생 수를 합칠 경우 전체 수강생 수는 지난해 기준 1만4000여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세종학당은 해외에서 한글을 배우려는 재외동포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센터로 출발했지만 최근 한류 열풍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세종학당 수강생의 외국인 비율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미국 LA한국문화원이 운영하는 세종학당의 경우 개설 초기만 해도 수강생의 75%가 재외동포였지만 지금은 외국인이 전체 수강생의 74%(2012년 2월 기준)를 차지해 재외동포와 외국인 수강생의 비율이 역전됐다. 특히 초급 1반과 초급 2반의 경우 외국인 비율은 90%가 넘는다. 또 지난해부터 초급반의 온라인 수강 신청이 4-5일 만에 조기 마감되는 등 외국인 수강생이 넘쳐나고 있다.
세종학당은 2009년 6개국 17개소, 2010년 12개국 23개소, 2011년 31개국 60개소로 매년 급증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는 6월 현재 35개국 76개소로 늘어났다. 국가별로는 중국 17개소, 베트남 5개소, 필리핀 4개소, 일본 2개소, 미국 4개소, 러시아 3개소, 영국 2개소, 몽골 2개소, 터키 3개소, 페루 1개소, 나이지리아 1개소 등이다.
아직까지는 아시아 지역에 몰려 있지만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90개소로 늘리고, 2014년 160개소, 2016년 200개소로 증설할 방침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팀
22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어세계화재단에 따르면 해외 한국어 교육센터인 ‘세종학당’의 연도별 수강생 수가 2009년 4301명에서 2010년 6016명, 2011년 9348명으로 늘었다. 여기에 재외 한국문화원이 직접 운영하는 세종학당의 수강생 수를 합칠 경우 전체 수강생 수는 지난해 기준 1만4000여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세종학당은 해외에서 한글을 배우려는 재외동포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센터로 출발했지만 최근 한류 열풍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세종학당 수강생의 외국인 비율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미국 LA한국문화원이 운영하는 세종학당의 경우 개설 초기만 해도 수강생의 75%가 재외동포였지만 지금은 외국인이 전체 수강생의 74%(2012년 2월 기준)를 차지해 재외동포와 외국인 수강생의 비율이 역전됐다. 특히 초급 1반과 초급 2반의 경우 외국인 비율은 90%가 넘는다. 또 지난해부터 초급반의 온라인 수강 신청이 4-5일 만에 조기 마감되는 등 외국인 수강생이 넘쳐나고 있다.
세종학당은 2009년 6개국 17개소, 2010년 12개국 23개소, 2011년 31개국 60개소로 매년 급증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는 6월 현재 35개국 76개소로 늘어났다. 국가별로는 중국 17개소, 베트남 5개소, 필리핀 4개소, 일본 2개소, 미국 4개소, 러시아 3개소, 영국 2개소, 몽골 2개소, 터키 3개소, 페루 1개소, 나이지리아 1개소 등이다.
아직까지는 아시아 지역에 몰려 있지만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90개소로 늘리고, 2014년 160개소, 2016년 200개소로 증설할 방침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