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중년 여성의 혈관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국내 병의원에서 고지혈증으로 진료를 받는 중년 여성
2005년 13만 명에서 2009년 28만 명으로 배 이상 급증했는데도 혈관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제대로 아는 여성은 10명 중 2명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3월17일부터 5월27일까지 전국 50개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 중 심장혈관 질환 위험요인을 가진 20~90대 환자 278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0~60대 중장년 여성의 20.1%만이 고지혈증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게다가 이들 중 고지혈증이 죽상동맥경화증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치명적인 심장혈관 질환을 합병할 수 있다는 상관관계를 제대로 이해하고 여성은 9.8~10.6% 수준에 그쳤다.
이처럼 낮은 질병 인식도는 결국 검사율 저하로 이어졌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중년 여성 중 최근 1년 내 고지혈증 검사를 받은 환자는 69.8%로 비교적 높았으나, 죽상동맥경화증 검사는 5%, 심장혈관 질환 검사의 경우 3.4%밖에 안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지혈증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 간과하기 쉬운 만성질환으로 죽상동맥경화증, 심장혈관 질환으로 발전해 돌연사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고지혈증이 특히 중년 여성에게 위험한 이유는 저밀도 콜레스테롤(LDL-C) 지단백을 감소시키고 R고밀도 콜레스테롤(HDL-C) 지단백을 증가시키는 에스트로겐 호르몬이 폐경기에 접어들면 감소되기 때문이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반준우 전무(내과 전문의)는 “혈관에 기름기가 많은 사람, 즉 고지혈증 환자의 경우 죽상동맥경화증과 심장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LDL-C 수치를 낮추고, HDL-C 수치는 높이는 콜레스테롤 밸런스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위험 연령인 40대 이후엔 정기적으로 혈액검사를 통해 고지혈증에 의한 동맥경화도와 심장혈관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email protected]
2005년 13만 명에서 2009년 28만 명으로 배 이상 급증했는데도 혈관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제대로 아는 여성은 10명 중 2명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3월17일부터 5월27일까지 전국 50개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 중 심장혈관 질환 위험요인을 가진 20~90대 환자 278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0~60대 중장년 여성의 20.1%만이 고지혈증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게다가 이들 중 고지혈증이 죽상동맥경화증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치명적인 심장혈관 질환을 합병할 수 있다는 상관관계를 제대로 이해하고 여성은 9.8~10.6% 수준에 그쳤다.
이처럼 낮은 질병 인식도는 결국 검사율 저하로 이어졌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중년 여성 중 최근 1년 내 고지혈증 검사를 받은 환자는 69.8%로 비교적 높았으나, 죽상동맥경화증 검사는 5%, 심장혈관 질환 검사의 경우 3.4%밖에 안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지혈증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 간과하기 쉬운 만성질환으로 죽상동맥경화증, 심장혈관 질환으로 발전해 돌연사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고지혈증이 특히 중년 여성에게 위험한 이유는 저밀도 콜레스테롤(LDL-C) 지단백을 감소시키고 R고밀도 콜레스테롤(HDL-C) 지단백을 증가시키는 에스트로겐 호르몬이 폐경기에 접어들면 감소되기 때문이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반준우 전무(내과 전문의)는 “혈관에 기름기가 많은 사람, 즉 고지혈증 환자의 경우 죽상동맥경화증과 심장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LDL-C 수치를 낮추고, HDL-C 수치는 높이는 콜레스테롤 밸런스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위험 연령인 40대 이후엔 정기적으로 혈액검사를 통해 고지혈증에 의한 동맥경화도와 심장혈관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