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 정치] 한나라당 원내대표 경선에 친박 최경환 의원이 정책위의장 출마를 선언하면서 이른바 박심(朴心)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를 둘러싼 친박측 득실 계산도 복잡한 양상이다.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는 청와대와 당 지도부가 제안한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에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그러나 최 의원의 출마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사실상 묵시적으로 승낙한 셈이다. 최 의원도 출마선언 직후 박 전 대표와 사전 공감이 있었음을 내비췄다.
박 전 대표의 이 같은 행보를 두고 친박 내부에서도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측은 최 의원 카드는 친박 입장에서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보고 있다. 한 친박 관계자는 “김무성 원내대표론은 친박 입장에서 권한은 없고 책임만 강조될 수 있는 자리”라면서 “최 의원이 정책위의장을 맡을 경우 계파를 떠나 정부에 협조했다는 인상을 주면서도 친박의 정치적 책임은 줄어들게 된다”고 말했다.
평소 원리·원칙을 중시해온 박 전 대표 이미지가 다시 부각됐다는 점도 플러스로 평가된다. 또 청와대와 당 지도부가 나서 원내대표를 결정하려는 시도를 봉쇄함으로써 한나라당이 청와대의 거수기로 전락하는 것을 막았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박 전 대표 영향력 역시 재차 확인됐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실이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 먼저 김 의원과 최 의원의 행보가 박심을 통해 결정된 만큼 계파수장 이미지가 더욱 강해진 것은 정치적 손실로 꼽힌다. 한 친박 의원은 “박근혜의 힘이 강조될수록 계파수장 이미지 탈피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당 화합을 위해 친이가 내민 손을 매몰차게 뿌리쳤다는 비판도 고조되는 분위기다. 수도권 친이계 의원은 “박 전 대표가 정말 친이-친박 화합을 원하는 지 의심이 간다”면서 “국민들도 이제는 ‘박 전 대표가 너무 한다’는 말을 하고 있다”고 했다.
무엇보다도 이번 일로 자칫 친박 내부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점은 박 전 대표에게 큰 부담이다. 친박계 좌장인 김 의원을 물리치고 최 의원을 선택한 것을 놓고 친박 내부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친박측 핵심 관계자는 “대선 경선때부터 열심히 일해 온 김 의원이 화합을 위한 우선순위에서 제외된 것은 다른 친박 의원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면서 “친박 의원 사이에서도 ‘김무성 동정론’이 확산되고 있고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노용택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