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건강TV] 자궁내막증식증 #2 자궁내막증식증의 특징과 증상

[쿠키건강TV] 자궁내막증식증 #2 자궁내막증식증의 특징과 증상

기사승인 2015-12-21 10:00:55

"


강주형 아나운서▷ 갱년기에 자궁 내막 증식증이 발생하는 경우, 자궁 내막암 으로 진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하셨는데요. 실제로 자궁 내막 증식증 중 자궁 내막암으로 발전하는 비율은 얼마나 되나요?

박주희▶ 2~3% 정도입니다. 단순형 자궁 내막 증식증은 암으로 변할 가능성이 별로 없고요. 복합형 증식증은 그대로 두면 5% 내외에서 자궁 내막암이 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폐경기 후의 여성에서는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요. 이형 자궁 내막 증식증이 자연히 정상으로 회복되는 수도 있지만 암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10% 이상으로 연구자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강주형 아나운서▷ 네. 복합형이나 이형인 경우 조직 검사를 받는 것이 좋겠네요. 그리고 자궁에 생긴 이상이다 보니 임신, 출산과의 연관성에 대한 질문을 드리지 않을 수 없는데요. 자궁 내막 증식증이 임신과도 연관 있나요?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지 궁금해요.

박주희▶ 자궁 내막 증식증이 있는 경우 정상적인 주기로 배란과 월경이 반복되는 양상이 아니므로 임신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배란장애가 있는 불임 환자의 경우 자궁내막증식증이 생길 수 있고요.

강주형 아나운서▷ 그렇군요. 이번에는 증상에 대해 알려주세요. 자궁 내막 증식증의 경우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박주희▶ 주된 증상은 부정 자궁 출혈입니다. 월경 과다증도 생기는데 출혈량은 사람에 따라 다르고요.

강주형 아나운서▷ 부정 자궁 출혈이라는 건 정상 월경이 아닌 출혈을 말하는 것이잖아요. 그런데 그런 부정 출혈은 보통 한 두 번은 쉽게 경험하는 비교적 흔한 증상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부정 자궁 출혈이 내막 증식증의 증상일 수도 있군요. 그럼 부정 출혈에 대해 좀 더 정확히 알려주세요.

박주희▶ 가임기 여성의 보통 정상 월경 주기는 21~35일이고, 기간은 2~6일이며, 양은 20~60㎖정도인데요. 이 범위를 벗어나거나 월경 주기 사이에 출혈이 있을 때는 부정 자궁 출혈일 수 있습니다.

강주형 아나운서▷ 부정 자궁 출혈은 내막 증식증의 증상으로만 나타나는 건 아니죠? 다른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죠?

박주희▶ 그렇습니다. 자궁출혈은 자궁에 해부학적, 조직학적 병변이나 내과적 질환이 있을 때의 자궁출혈과 특별한 해부학적 이상이나 전신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무배란 주기와 연관돼 나타나는 기능성 자궁출혈로 나눠지는데요. 질환이 있는 경우나 없는 경우 모두 생길 수 있습니다.

강주형 아나운서▷ 그럼 내막 증식이 심하면 출혈 양이 상당한가요? 출혈 양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해요.

박주희▶ 사람마다 다릅니다. 증식이 심해도 출혈이 별로 많지 않은 환자가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죠. 출혈이 생기는 원인은 너무 많이 증식된 자궁 내막이 월경을 할 때 또는 월경과 관계없이 떨어져 나오기 때문입니다.

강주형 아나운서▷ 네. 그리고 자궁 내막 증식증 치료가 중요한 이유에 대해 알려주세요. 증상으로 나타나는 자궁 출혈을 그대로 둘 경우, 또 다른 문제가 생길 수도 있겠죠?

박주희▶ 그럼요. 비정상 자궁 출혈로 빈혈이 잘 생기고 배란 장애 때문에 불임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또 에스트로겐과 관련되는데 난소에서 이 호르몬이 나오는 혹이나 질환과 관련이 있어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자궁 내막암으로 변할 수 있기도 하고요.

강주형 아나운서▷ 이제 내막 증식증의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원장님, 모든 자궁 내막 증식증이 다 한방치료가 가능한가요?

박주희▶ 그건 아닙니다. 먼저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을 받아야 하고, 치료 과정에서도 계속 추적검사를 해야 하며 이형 증식증의 경우 악성으로의 변이를 염두에 두어야 하므로 한방치료 만으로 모든 과정을 이어나갈 수는 없습니다."
이승환 기자 기자
이승환 기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