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시 산하 지방공기업 기관장 10명 중 6명이 지자체 관료 출신일 정도로 지방에서도 ‘관피아’(관료+마피아) 관행이 뿌리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임이사·감사도 10명 중 7명은 지자체 관료 출신으로 나타나 지방공기업 임원채용 자격심사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민단체인 바른사회시민회의는 서울, 부산 등 7개 광역시 산하 지방공기업 28곳의 상임·비상임 임원 225명을 분석한 결과 59명(26%)이 해당 지자체 관료 출신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이 단체에 따르면 특히 기관장은 28명 중 18명(64%)이 해당 지자체 관료 출신이었고 6명(21%)은 중앙정부 또는 공기업 출신이었다. 급여가 보장되는 ‘노른자위’인 상임이사(기관장 포함)·감사는 전체 84명 중 50명(68%)이 해당 지자체 관료 출신이었고 내부 승진자는 12명(21%)에 그쳤다. 반면 고정 급여가 거의 없는 비상임 임원은 141명 가운데 지자체 출신이 9명(6%)에 불과했다.
임원 가운데 지자체 관료 출신 비율은 울산 42%, 부산 40%, 인천 31%, 대전 24%, 대구 22%, 광주 21%, 서울 13% 순이었다. 지자체장의 재임기간이 길수록 대체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비율이 가장 높은 울산은 박맹우 전 시장이 12년을 재임했고, 부산은 허남식 시장이 10년을 재임했다.
보은·측근 인사도 적지 않았다. 28개 지방공기업의 임원 225명 중에는 지자체장 선거캠프나 인수위원회, 공약실행위원회에 참여했거나 지자체장이 후보 시절 지지를 선언했던 인사가 29명(13%)이 포함돼 있다. 해당 지자체 광역의원 또는 총선·지방선거 출마 경험자, 지자체장 소속 정당 관계자 등 정치권 인사도 20명(8%)이었다.
바른사회시민회의 관계자는 “지자체장이 측근 공무원 등을 챙기는 오랜 관행으로 인해 산하 기관들엔 낙하산 인사가 끊이지 않았다”며 “공기업 임원추천위원회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지방공기업의 임원채용 자격 심사 기준부터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시민단체인 바른사회시민회의는 서울, 부산 등 7개 광역시 산하 지방공기업 28곳의 상임·비상임 임원 225명을 분석한 결과 59명(26%)이 해당 지자체 관료 출신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이 단체에 따르면 특히 기관장은 28명 중 18명(64%)이 해당 지자체 관료 출신이었고 6명(21%)은 중앙정부 또는 공기업 출신이었다. 급여가 보장되는 ‘노른자위’인 상임이사(기관장 포함)·감사는 전체 84명 중 50명(68%)이 해당 지자체 관료 출신이었고 내부 승진자는 12명(21%)에 그쳤다. 반면 고정 급여가 거의 없는 비상임 임원은 141명 가운데 지자체 출신이 9명(6%)에 불과했다.
임원 가운데 지자체 관료 출신 비율은 울산 42%, 부산 40%, 인천 31%, 대전 24%, 대구 22%, 광주 21%, 서울 13% 순이었다. 지자체장의 재임기간이 길수록 대체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비율이 가장 높은 울산은 박맹우 전 시장이 12년을 재임했고, 부산은 허남식 시장이 10년을 재임했다.
보은·측근 인사도 적지 않았다. 28개 지방공기업의 임원 225명 중에는 지자체장 선거캠프나 인수위원회, 공약실행위원회에 참여했거나 지자체장이 후보 시절 지지를 선언했던 인사가 29명(13%)이 포함돼 있다. 해당 지자체 광역의원 또는 총선·지방선거 출마 경험자, 지자체장 소속 정당 관계자 등 정치권 인사도 20명(8%)이었다.
바른사회시민회의 관계자는 “지자체장이 측근 공무원 등을 챙기는 오랜 관행으로 인해 산하 기관들엔 낙하산 인사가 끊이지 않았다”며 “공기업 임원추천위원회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지방공기업의 임원채용 자격 심사 기준부터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email protected]